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139

비판적 현실주의, 환경 시민성에 기반한 SSIBL를 알아보자. 사회과학적 탐구 기반 학습, 즉 SSIBL은 환경 시민의식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을까요? 오늘은 SSIBL의 환경 시민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읽은 논문은 비판적 현실주의를 바탕으로 환경시민 교육을 지원하는 SSIBL의 교육적 접근 방식에 대해서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였습니다. 1. 비판적 현실주의가 뭐지? Critical Realism은 인식론과 철학적 이론으로서, 현실 세계를 인식하고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Critical Realism은 '복잡한 현실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실 세계를 구성하는 세 가지 영역인 현상, 기제, 매개체를 인식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또한, Critical Realism은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적극적'이고 '..
적정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간디, 슈마허로 이어진 초기의 적정 기술은 소규모로 간단하고 돈이 적게 들고 빈곤국의 자원과 필요에 적합한 기술로 알려졌지만 선진국에서도 그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기술이 필요하게 되면서 적정 기술이 중요시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적정기술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초등학교에서는 친환경 미래 농업과 생활 속의 농업 체험에서 적정 기술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예비교사 또한 기술 요소 중에 적정 기술에 대한 중요도를 보통 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제 적정 기술은 융합교육, 과학 교육, 실과 교육 분야에서 창의성 신장, 문제 해결을 위해서 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적정기술은 과연 개발 도상국을 위한 기술이기만 할까? 적정기술은 개발 도상국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 기존..
환경 소양 함양을 위한 적정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나라에서는 7차 교육과정부터 환경 교육을 범교과 학습 주제로 정하여 강조하였습니다. 범교과 학습 주제는 국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학습 내용이며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학습 주제로서 여러 교과의 경계를 가로지릅니다. 오늘은 환경 지속 가능한 발전 교육으로 학교 교육의 여러 영역을 통합하여 관련 내용을 지도하는 방법으로 적정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적정 기술의 등장 배경 적정 기술은 범교과 학습의 지속 가능한 발전 교육 환경 주제 및 환경 소양 화면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요. 적정 기술은 희소자원의 최소화를 중요시하는 슈마허의 '중간 기술'에서 그 개념이 발달하였습니다. 적정기술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첨단 기술의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이렇듯 환경 보전 및 지속 가능성과 적정 기술을 분리하여 ..
디자인 기반 학습(DBL)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PBL에서 실생활의 개념으로 좀 더 발전되어 파생된 디자인 기반학습(DBL)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디자인 기반 학습(Design Based Learning)이란? 설계를 통한 통합교육적 접근 방법(Doppelt, 2009) 학생들이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사고를 사용하도록 촉진하는 방법(Apedoe & Schunn, 2013)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공학자들이나 디자이너들이 실제로 겪는 설계 과정을 경험하면서, 문제 해결 및 창의적인 설계 과정을 경험한다(Kolodner et al., 2003). 디자인 기반 학습은 문제 중심 학습(Problem Based Learning)과 목표와 형태 및 단계가 비슷하지만, 문제 중심 학습과는 달리, 실생활 문제를 중심으..
메이커 교육에 대해 알아보자. 국내 메이커 교육은 정부 정책과 예산 편성이 이루어지면서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입식 교육의 관성으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창의적인 활동이 아니라 어떤 성과와 경력을 위한 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오늘은 메이커 교육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해외의 메이커 교육, 메이커 운동 중국의 경우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정부 주도의 Top-Down 방식의 메이커 교육 확산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자본력을 바탕으로 해서 대규모 메이커 인프라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관 주도형 메이커 교육의 확산보다는 문화적 토대가 구축되는가, 그리고 메이커 교육의 지속적인 확산과 성장에 대한 가능성일 것입니다. 미국의 경우는 메이커 교육에..
STEM 직종에서 필요한 역량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 즉 스템 직종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수한 과학기술 인력의 양성을 위한 스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습니다. 과학이나 기술, 공학, 수학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오랜 교육과 경력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이 직종에 필요한 역량에 기반을 두어 과학교육 정책을 설계하고 알맞은 과학기술 진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1. 기존 과학진로 관련 연구의 문제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별로 고유의 특수한 역량인 교과 역량이 포함되었는데요. 기존의 과학기술 인력 정책 연구는 연구 인력의 역량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학원생 신진 연구자 중견 연구자로 구분하여 전문가 설문 및 인터뷰를 기반으로 과학 연구 인력에 요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