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비판적 현실주의, 환경 시민성에 기반한 SSIBL를 알아보자.

by _❤
반응형

사회과학적 탐구 기반 학습, 즉 SSIBL은 환경 시민의식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을까요? 오늘은 SSIBL의 환경 시민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읽은 논문은 비판적 현실주의를 바탕으로 환경시민 교육을 지원하는 SSIBL의 교육적 접근 방식에 대해서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였습니다.

 

1. 비판적 현실주의가 뭐지?

Critical Realism은 인식론과 철학적 이론으로서, 현실 세계를 인식하고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Critical Realism은 '복잡한 현실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실 세계를 구성하는 세 가지 영역인 현상, 기제, 매개체를 인식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또한, Critical Realism은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적극적'이고 '비판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현실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인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Critical Realism은 사회과학, 경제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현실 세계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매우 유용한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2. 시민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것의 의미

시민의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합니다.

  • 첫째 관련 학제 간 지식,
  • 둘째, 지속 가능한 세계의 복잡성과 필요성에 대한 가치 인정
  • 셋째, 개인 및 집단 수준에서의 사회 정치적 행동에 대한 확신과 헌신입니다.

 

영국, 스페인, 네덜란드 등의 유럽 국가에서는 SSlBL 접근법이 유용한 시민참여의 방식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특히 학교 커리큘럼에 이를 통합하여 환경 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전략인데요. 그만큼 지속 가능성과 환경은 이제 사회, 정치적 행동의 핵심 용어가 되었습니다.  어떤 교육적 방식을 채택하든지 공통된 지식과 기술 심도 있는 과학 환경 지식과 개인적, 사회적, 전 지구적 시민 행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 때문에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과학과 사회라는 영역이 새로 신설되었습니다.

 

3. 환경 시민의식의 관점에서 보는 SSIBL

SSIBL은 탐구 중심적이며 해결에 필요한 문제를 식별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세계의 불확실성과 다양한 공통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학제 간 방법을 활용합니다. 그래서 코로나 팬데믹과 같이 사실관계가 불분명하고 백신의 보급에 대한 찬성과 반대와 같이 가치가 논쟁적이며 아주 중요한 경우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EU 프로젝트는 과학 교육에서의 책임 있는 연구 및 혁신 달성 촉진 PRRISE를 통해 SSIBL을 공식화하였습니다.

 

SSIBL은 세 가지 교육적 접근법을 연결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첫째, 지식을 활용하고 구성할 수 있는 탐구를 출발점으로 삼는 탐구 기반 과학교육 (IBSE)
  • 둘째, 지속 가능성 등 과학적 내용이 강한 사회 문제를 탐구하는 사회과학적 이슈 (SSI)
  • 셋째, 민주적 관행에 부합하는 목표를 가지고 참여 학습과 탐구성에 탐구에 중점을 둔 시민성 교육 (CE)
    • 이러한 아이디어는 지속 가능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며 윤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결과를 지향하는 탐구를 통해 포괄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4. SSIBL의 모델

그 교육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 Ask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조사할 수 있는 특정 SSI 기반 관점으로 구성된 진정한 질문, Authentic question(참 질문)을 제기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둘째, 증거를 수집하고 질문에 답하기 위한 다양한 관점을 밝히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책임 탐구를 제정하거나 수행하는 학생에게 초점을 맞춘 Find out 단계입니다.
  • 셋째, ACT는 학생들이 조사 결과를 고려하고, 지역, 국가 또는 글로벌 수준에서 지역사회 내에서 책임감 있게 기여할 수 있는 적절한 형태의 행동을 보완해서 적극적인 시민권을 제정하는 방법에 중점을 둡니다.
    • 이러한 방법은 환경 및 지속 가능성 교육에서 확인된 사실, 규범 교육, 전통적 교육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학재간 탐구 행동 가치 지향에 중점을 두면서 지속 가능성의 맥락에서 인간의 해방이라는 아이디어를 촉진하고 환경 시민권을 육성하기 위함입니다.

 

Ariza, M. R., Christodoulou, A., van Harskamp, M., Knippels, M. C. P., Kyza, E. A., Levinson, R., & Agesilaou, A. (2021). Socio-scientific inquiry-based learning as a means toward environmental citizenship. Sustainability, 13(20), 11509.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