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교육136

청소년을 위한 필독서, 법 쫌 아는 10대 요즘 세상을 살다 보면 법이 얼마나 중요한지 실감할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작 우리 아이들은 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법이라고 하면 왠지 어렵고 딱딱한 느낌부터 떠오르곤 하죠. 그런데 이 고정관념을 완전히 깨버린 책이 있습니다. 바로 "법 쫌 아는 10대"입니다. 이 책은 청소년들이 법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였는데요, 부모님과 자녀 모두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어려운 법을 대화 형식으로 쉽게 풀어내다"법 쫌 아는 10대"는 특이하게도 저자인 김나영 선생님(중학교 교사)과 김택수 변호사(그녀의 아버지)가 대화 형식으로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딱딱한 설명이 아니라, 실제로 교실이나 가정에서 나눌 법한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법에 대해 배울 수 있죠.예를 들어 "법이 없으면 세..
통일에 대비한 경제교육 콘텐츠가 왜 필요할까? 통일 이후 경제적 통합은 남북한 사회에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저는 사석에서 만난 교사들에게 늘, '통일이 가까운 시일 내에 될 수 있다. 우리는 통일에 대한 교육 콘텐츠들도 많이 만들어 두어야 한다.'고 강조하곤 하는데요. 그럴 때마다, 지인들은 많이 비웃습니다. 하지만 정치적 변화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급속하게 다가올 수 있고, 백년지대계인 교육은 그에 대해서도 대비하고 있어야 합니다. 오늘은 교사인 우리가 어떤 준비를 해야할지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1. 초등교육에서 통일 대비 경제교육의 중요성초등학생들이 경제적 관점을 배우는 것은 통일 후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성과 성장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어릴 때부터 남북한의 경제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연결하는 사고를 키운다면..
발명의 1단계, 기존 발명품 조사하기 발명교육에서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해결책을 낼 수 있으려면, 우선 기존에 어떤 발명품들이 만들어졌는지에 대해 이해해야 합니다. 오늘은 발명 교육의 프로그램의 맨 첫 차시에서 할 수 있는 학습지를 제작하여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1. 기존 발명품을 왜 분석해야 할까?발명의 역사적 맥락, 발명이 사회와 기술에 미친 영향발명품은 단순히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품을 창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사용되는 사회적, 경제적 맥락 안에서 의미와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전구의 발명은 단순히 빛을 제공하는 기술적 성과를 넘어 산업화 및 도시 생활의 변화를 촉진했습니다.문제 해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과제와 장애물에 대해 배우기많은 발명품들은 여러 번의 실..
교실 공유하시는 선생님, 바탕 화면 정리는 이렇게 어떠세요? 저는 정리를 정말 못하는 편입니다. 문도 들어온 다음엔 늘 열어두고, 뒤처리가 잘 안 되는 스타일이랍니다. 😎 그래서 주변 선생님들을 통해 정리하는 방법을 하나둘씩 배워가고 있답니다. 그중에서도 초등 담임톡에서 접하게 된 손지선 선생님의 블로그 포스팅!! https://m.blog.naver.com/samels1984/223184104532 (안구정화용) 학교 업무용 예쁜 컴퓨터 바탕화면 공유 개학을 이미 했거나, 내일 개학을 앞두고 마음이 복잡하고 무거운 분들 많이 계시죠? 이럴 때는 컴퓨터 바... blog.naver.com 아니, 이런 신박한 방법이 있었네요! 아이콘들을 업무용도로 분류해서 올려놓는 거죠~! 밋밋한 사진이나 기본 윈도용 사진으로 해두고는 했었거든요. 손쌤이 제공하신 아이디어가 너무 ..
사용연령 걸리는 메타버스 대신, 사이버스(교육청이 만든 메타버스) 알아보기 이번에 17개 시도교육청과 KERIS가 함께 만든 플랫폼이 하나 새롭게 만들어졌습니다. 바로 '사이버스'라는 공간입니다. 총 9개의 스테이지로 되어 있으며, 사이버 폭력 예방을 위한 8가지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어떤 기능이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1. 알파세대를 위한 정체성 부여 학생들은 각자의 프로필을 선택합니다. 아이템을 추가해 나갈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HP와 같이 점수, 순위제기 때문에 키워가는 재미가 쏠쏠해 보이네요. 하루에 한 번 만들 수 있는 명함 등도 있어서, 자기의 개성을 뚜렷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2. 유익한 사이버 공감역량 성장 스테이지 사이버 공간에서 다양한 고민을 가진 친구들을 만나 고민을 해결해 나가는 콘셉트입니다. 스테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마음을 토닥토닥: ..
AI시대, 발명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가?(윤초희, 2023) 오늘은 윤초희(2023)의 논문을 바탕으로 발명에 대한 철학적인 맥락을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지금의 철학은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도 아닌 포스트 휴머니즘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1. 발명에 대한 선행연구 발명: 새로운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는 것과는 달리, 추상적인 아이디 어를 구체화하여 새로운 산물로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특허청ㆍ한국발명진흥회 외, 2010). 창의성은 반드시 구체적인 제품 생산이나 유형적 산물로 이어지지 않지만, 발명은 인간의 생활을 이롭게 하기 위해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어떤 것 을 새롭게 만들어낸다는 의미가 강함 발명을 개념화하고 발명교육의 내용체계를 개발하는 연구(이윤조, 2015)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