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STEM 직종에서 필요한 역량에 대해 알아보자.

by _❤
반응형

오늘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 즉 스템 직종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수한 과학기술 인력의 양성을 위한 스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습니다. 과학이나 기술, 공학, 수학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오랜 교육과 경력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이 직종에 필요한 역량에 기반을 두어 과학교육 정책을 설계하고 알맞은 과학기술 진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1. 기존 과학진로 관련 연구의 문제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별로 고유의 특수한 역량인 교과 역량이 포함되었는데요. 기존의 과학기술 인력 정책 연구는 연구 인력의 역량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학원생 신진 연구자 중견 연구자로 구분하여 전문가 설문 및 인터뷰를 기반으로 과학 연구 인력에 요구된 주요 역량을 도출하였습니다. 하지만 과학기술 연구 인력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과학기술 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직업의 분야를 반영하지 못하였던 문제가 있습니다.

 

2000년부터 한국 정부는 국가직무능력 표준이라는 NCS를 개발하여 대학 및 직업교육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15개의 능력 단위는 9개의 학습 모듈을 포함한 직업 교육 모듈인데요. 이것이 과학교육 측면에서 함의를 얻기는 어렵습니다. 

 

2. STEM 직종에서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

STEM이란, 과학기술, 공학, 수학 분야를 의미하지만 스템 직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합의된 정의는 없습니다. OECD 캔버라 매뉴얼에서는 과학기술 인력이라는 정의에 근거하여 '과학기술 분야의 고등교육을 성공적으로 마쳤거나 과학기술 분야의 고등교육을 마치지는 못했지만 해당 자격을 갖춘 자가 취업하는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자'로 과학기술 인력을 정의합니다.

 

또한 유네스코에서는 oecd 캔버라 매뉴얼과 달리 과학기술 인력을 특정 기관 및 부분에서 직접 과학기술 활동에 참여하거나 이에 대한 용역을 통해 보수를 지급받고 있는 인력을 지칭합니다. 미국의 노동부와 교육부는 STEM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인적자원의 수급 및 질 관리 중요성을 강조하며 STEM 직종에 대한 정의를 의미하였습니다. 그러나 STEM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기관 및 연구자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습니다.

 

미국 직업 정보 네트워크:  STEM직종을 스템 분야의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한 직종으로 정의

미국 노동부: 과학 공학 수학 정보기술 분야와 과학 및 공학과의 연관성이 있는 분야로 나눕니다. 구체적으로 과학공학 수학 정보기술 분야는 생명과학 물리학 공학 수학 정보기술 사회과학을 포함합니다. 과학 및 공학과 관련된 분야는 건축 의료 분야를 규정합니다. 일과 교육의 연계 개인 맞춤형 교육 진로 교육이 강조된 시대에 비추어 일반 역량과 과학과 교과 역량 모두 세계와 교과 교육을 통한 역량 개발은 강조합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미래 세계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충분히 반영하는가에 대한 의문은 아직 남습니다. 일반 역량과 과학과 역량의 범주에는 생애 과학과 탐구 능력이 한정되어 있으며 과학 기술 직종이 요구되는 주요 역량에 대한 기술은 없습니다.

 

과학 교육과정은 과학적 소양과 우수한 과학기술 인력 양상을 위한 과학 교육 모두 강조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의 관심은 과학 기술 직종으로 확장하여 필요 역량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자는 미국의 노동부 과학기술 미국 과학재단 미국 직업 정보 네트워크 등의 정의를 분석하여 st 직종을 추리고 직종 정보의 주 성분 분석을 적용하였습니다.

 

 

3. STEM 핵심 역량의 분석 결과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과학기술 산업의 직업도 분화하여 STEM과목을 배워야 진입하는 이공계 직종에서 요구하는 역량도 다양해졌습니다. STEM 직종은 직종에 진입하기 위해 STEM 분야의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한 직종으로, 다음과 같은 역량을 필요로 합니다.

  •  STEM 문제해결역량(STEM problem-solving competency)
  • 관리역량(Managementcompetency)
  • 기술 역량(Technological competency)
  • 사회 서비스 역량(Social service competency)
  • 교육 역량(Teaching competency)
  • 설계 역량(Design competency)
  • 생물·화학 역량(Bio-chemistry competency)
  • 공공서비스 역량(Public service competency)

 

2015 개정 교육과 정의 과학과 교과 역량은 STEM 문제해결 역량, 기술 역량, 생물·역량, 설계 역량과 가장 관련이 깊으나 그 외의 역량을 포괄하지 않습니다. STEM 역량은 기존의 과학 교육 범주 안에서 기술한 과학과 교과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고 STEAM교육 및 진로교육에 도움을 줄 것입니다.

 

장혜원. (2018). 과학, 기술, 공학, 수학 (STEM) 직종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6), 781-79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