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실행연구가 초등 과학교육에 갖는 장점을 알아보자.

by _❤
반응형

실행연구는 교육자들의 실제를 반성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그들의 실제를 개선시키는 대안적인 방법을 창출하도록 돕는다. 오늘은 실행연구가 무엇인지 과학교육의 관점에서도 살펴보겠다.

 

1. 실행연구와 전통적 연구의 차이점

실행연구는 참여자 자신의 실제에 대한 합리성과 정의, 이들 실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실제가 수행된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한 사회적 상황에서 참여자에 의해 이루어진 단순한 자기-반성적 탐구의 형태이다(Carr&Kemmis, 1986). 따라서 실행연구에서는 실행이 곧 연구이고, 연구가 실행이다. 성찰과 실행의 활동을 밀접하게 연계하여 반복해야 하고, 연구 결과를 관심 있는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도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이다.

 

반면 전통적 연구는 객관화, 일반화를 강조하는 과학자에 의해 수행된다. 전통적 연구자들은 연구 상황 내에서 개인적으로 관여되려고 하지 않는다. 통제된 실험이나 현장연구로부터 얻은 자료에 의해 주관적인 실체와 거리가 먼 대표 표집으로부터 객관적 자료를 획득하는데 관심이 있는 것이다.

 

2. 실행연구의 초등 과학교육에 시사하는 장점 3가지

따라서 실행연구가 초등과학교육에 갖는 강점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실행연구는 과학 교사들의 교육적 과정에서 참여자들로서 그들을 적극적으로 관여시킨다. 총괄적인 자기-반성적 탐구로서 교육자들이 교육과정의 지식을 구성하고, 실제를 재구성하고 개선시킬 수 있다. 이는 과학교사의 전문적인 자기 계발을 위한 능력과도 연관된다.

둘째, 실행연구는 과학교육의 질 개선에 기여한다. 실행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개발은 물론이고, 교수 과정의 복잡성을 풀게 하여, 학생 학습의 질을 개선시키게 하는 실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학습 결과의 질은 교수 과정의 질적인 것에 대한 간접적인 표시라고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실행연구는 맥락적이고 지역적이며, 구체적 상황 내에서 문제를 규명하고 조사하기 때문에, 지역에 맞춘 과학교수학습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실행연구는 연구자들 간의 협동을 증진시킨다. 양적 연구에서처럼 통제된 실험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중심으로 하며, 교실, 교사, 학생, 교수학습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이므로, 연구 과정에서는 자신의 실행에 책임을 갖는 모든 참여자의 관여가 강조된다. 따라서 집단의 실행연구가 집단 구성원 개개인의 비판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접근이 협동적일 때에 유일한 실행연구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