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방법론80

논문에서 서론을 쓰는 3단계 서론은 대부분 다음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논문의 서론을 쓸 때에는 다음과 같은 3단계를 기억하는 것이 좋다. 1. 도입 부분 + 공감대 2. 문제 진술 (불안정 조건, 그 조건이 초래할 결고나 손실) 3. 해법 제시와 진술 (해법의 핵심/ 약속) 글을 잘 쓴다는 것은,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는 것과도 같다. 따라서 문제를 정확히 진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1. 도입 부분 : 문제제기의 공감대를 제공하는 방법 특히, 문제 제기를 하는 단락에서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혜택보다도, 그렇지 못했을 때 생길 수 있는 크나큰 손실을 강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한마디로, 독자들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도록 일종의 장치를 제공하자는 거다. 독자들은 이 ..
순수 학문과 실용 학문의 차이점(feat. 개념문제와 실용문제) 대학에서 가르치는 것은 모두 순수학문이라고 할 수 있을까? 순수한 연구는 세상을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도와주기만 할까? 순수학문과 실용 학문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우선, 개념 문제와 실용 문제를 알아야 한다. 1. 개념 문제 수수께끼, 퍼즐, 미스터리와 비슷한 개념 질문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대답이 해법이 된다. 개념 문제를 풀지 못한다고 해서 손해를 보지는 않는다. 때로는 개념 문제를 풀어야만 실용 문제를 풀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설명하려는 대상이 '무엇인지' 알아야,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개념 문제를 다루는 학문을 순수학문이라고 한다. 개념문제를 풀지 못하여 생기는 결과(손실)는 다만 그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2. 실용 문제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치는 수..
한국 과학 영재들의 감정, 정서와 소집단 상호작용에 관한 3가지 지식 1. ESM(경험 표집법- Experience Sample Method) 연구방법이란? 휴대전화 sms를 사용하여 답변을 받는 연구 방법. 예비조사를 통해 높은 응답률을 보인 하루에 2회로 정할 수 있다. 하루 2번 무작위의 시간(7:00~21:00)에 sms를 발송하고, 5분 내로 삶의 질(외적 활동, 내적경험)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2. 소집단 상호작용에서 알 수 있는 것 소집단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은 학생이 처한 상황, 교사의 유형, 실험의 주제, 목표에 대한 인지, 조원의 구성 등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강석진·노태희, 2000; 김조연 등, 2001) 과학영재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영재의 특성( 창의성, 문제발견력, 과제집착력, 리더십 등)..
논문을 쓸 때, 이유, 근거, 전제의 차이 이유와 근거, 전제가 서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개념일까요?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이유, 근거, 전제를 구분하고 글에서 잘 녹여내어야 합니다. 요약하자면, 이유는 주장에 대하여 글을 쓰는 사람이 생각해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근거는 글을 쓰는 사람이 생각해낸 것이 아닙니다. '바깥세상'에서 끌어온 사실이다. 독자들이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겁니다. 1. 이유와 근거를 구분하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단락이 있습니다. 주장: 오늘날 엘리트 교육은 개혁해야 한다. 이유: 부패한 돈벌이 수단으로 변질되어, 고등교육의 사명을 그르치고 있기 때문이다. 근거: 최근 3년 동안 교수가 뒷돈을 받아 성적을 조작했다는 기사만 30건이 터졌고, 학업 요건을 면제하는 특혜가 20건이나 된다. 이렇게 구분되는 것..
일관성 있는 글을 쓰기 위한 9가지 방법 책 '논증의 탄생'에서는 일관성 있는 글을 쓰기 위한 10단계 체크리스트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내가 글을 고쳐쓸 때, 꼭 염두해 두어야 할 9가지 질문을 정리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1. 논증의 구조가 명확하게 드러나는지 확인한다. 서론과 본론의 사이, 본론과 결론 사이에 선을 긋는다. 본론이 새로운 문단으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결론이 새로운 문단으로 시작하는지 확인한다. 2. 독자들이 주장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 주장의 핵심 문장을 밑줄 긋는다. 주장이 서론의 끝 부분이나, 결론 부분에 나와야 한다. 주장을 담은 문장이 서론과 결론 두 곳에서 모두 드러난다면, 결론의 문장이 더 구체적이고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한다. 3. 논증에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글 전체에서 같은 단어..
논문을 읽고 잘 이해하는 3가지 방법 학위 과정에 입학해서 해야 하는 가장 기초적인 일은 바로 논문 읽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만큼 논문은 부드럽게 읽히지 않습니다. 어려운 용어 때문에, 자신이 제대로 읽고 있는지 이해하지도 못한 채 눈만 글 위를 지나가는 느낌(?)이 들 때도 있지요. 오늘은 논문을 읽을 때 쉽게, 제대로 파악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전체 개요를 우선 파악하기 이야기하고자 하는 문제, 질문은 대부분 서론의 맨 끝에 나옵니다. 서론의 끝 문장에 밑줄을 그어 보세요. 서론의 끝에도 없는 주요 내용은 결론 부분에 나옵니다. 자세히 서론부터 읽지는 말고, 우선 글 전체를 훑으며 제목을 살펴봅니다. 그러면 주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가 이해될 것입니다. 그다음에는 각각의 단락 맨 첫 문장을 훑어봅니다.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