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단일기72

'크리에이터로서의 교사' 강의 교안을 공개하는 이유 올해의 채널에 선정되는 영광과 함께, 선생님들 앞에서 감히 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특강 시간도 주셨습니다. 미약한 저를 높게 세워주시는 저의 수많은 인연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앞으로도 좋은 교육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서 선한 영향력을 미칠 것을 다짐해 봅니다. 보다 겸손하게, 낮아지기 위하여 저의 이번 강의 전사본 및 강의 교안을 '크리에이터로서의 교사'에 대해 논하고 싶으신 수많은 선생님들을 위해 바칩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3.06.16 - [미래교육] - 크리에이터로서의 교사에 대하여 알아보자. 크리에이터로서의 교사에 대하여 알아보자. 저에게는 부캐가 있습니다. 올라피샘이라는 이름으로 지금은 한국 교사 크리에이터 협회에 소속되어 있고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
아이의 평생 기억에 남는 초등학교 교사의 영향력 유년 시절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은 어디일까요? 어두컴컴한 골목길일 수도 있고 놀이터일 수도 있겠네요. 가정 다음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은 아마도 초등학교 교실일 것입니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만나는 담임 선생님은 보통 한 분인데요. 이분들에게 아이들은 엄청난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합니다. 또 이 영향은 그 1년의 시간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아이의 평생을 좌지우지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초등학교 교사가 얼마나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면서 제 스스로에 대한 성찰을 해보려고 합니다. 1. 이헌주 연세대 교수의 이야기 연세대학교에서 상담코칭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이헌주라는 분은 인생의 귀인에 대해서 이렇게 얘기합니다. 자신은 초등학..
아이들의 감정만을 우선하는 것이 진짜 교육인가? 씨앗이 자라서 큰 나무가 되기까지는 수천번 흔들린다. 올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자라기도 하고, 뿌리가 썩기도 한다. 중간중간에 누군가는 가지치기를 해주어야 큰 나무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 아이들이 가끔은 실수도 한다. 솎아주기, 가지치기가 많이 필요한 어린 새싹들이다. 담임교사, 특히 초등학교에서의 담임교사는 화장실 갈 시간도 없이 신경이 곤두서 있을 때가 많다. 생활지도 때문이다. 묘목인 이 어린 나무가 큰 나무가 될 수 있도록, 가지 치기를 위해 지도를 해주는 직업이다. 때로는 웃으면서, 때로는 엄격하게. 매번 좋은 말만 해주는 것은 아이에게 도움이 안된다. 그래서 친절하지만, 단호한 교사가 나의 롤 모델이다. 감정을 받아주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아이가 억울하다면 인정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 그리고 초등교사 직업 정체성 연구의 필요성 ‘君師父一體’라는 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사적으로 한국사회에서는 유교적인 사고관에 의해 전통적으로 교사를 임금, 국가, 부모와 같은 위치로 간주하여 왔다. 오늘은 초등학교 교사라는 직업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왜 필요한지 정리해 보겠다. 교사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의 변화 1960년대부터 교사도 일종의 노동자라는 의견이 제기되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전문 직업인, 평생 안정된 직장(또는 직업)으로 보는 시각도 등장하였다. 전문직적 요소에 비추어 볼 때, 교직은 전문직에 해당한다고 보는 연구들이 존재한다(윤현숙, 2002; 안미화, 2005). 이와 반대로 교직의 비전문직화 현상을 지적하며, 우리나라의 교직이 전문직의 기준에 부합하는가에 대해 회의적으로 보는 연구들도 있다(허병기, 1994; 김..
학부모 공개수업에 대비한 교실 뒷판 환경 구성, 아이들 1학년때 사진으로! 학기 초, 고학년이 된 아이들의 부모님께도 수업 공개는 늘 설레는 일일 것입니다. 우리 아이가 교실에서 발표는 잘하는지, 친구들과는 잘 지내고 있는지 궁금하기도 할 겁니다. 그런 부모님께 공개수업은 중요한 일정이지요.  이런 공개 수업 때, 우리 아이들 하나하나를 세워주고, 수업에서 나설 수 있게 여러모로 신경을 쓰는 편인데요. 교실 뒤판 역시 아이들의 예쁜 모습, 그것도 몇 년 전의 모습이 담겨있다면 부모님께도 아이들에게도 깜짝 서프라이즈가 되겠죠? 1. 학습지 파일 공유아래와 같이 아이들의 1학년 때 사진을 활용해서 교실 뒤판을 꾸며봤습니다. 초등고학년의 경우, 막 취학했을 때의 사진을 보면 누구나 절로 미소가 지어집니다. 아이들에게 저는 사진만 주고, 이 사진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학기 초에 찾아보는..
인공지능이 야기한 디지털 격차를 목도하며 드는 생각 지금으로부터 바야흐로 30년 전 즘부터 우리나라에 인터넷이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넷의 등장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했죠. 인터넷으로 삶이 획기적으로 바뀔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1. 인공지능이 불러온 다양한 가능성 도서관에 이제 사서라는 직업은 없어질 거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오히려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직업이 새롭게 만들어졌죠. 그와 같은 현상이 지금 일어나고 있습니다. 바로 인공지능의 도입인데요. 챗 gpt로 대표되는 인공지능이 사람들에게 엄청나게 다양한 현상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오늘은 인공지능의 도입에 의해 생기는 기회와 고민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능력을 대신해 주고 보완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의료진단, 로봇 공학, 자율 주행뿐만 아니라 다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