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150

학습의 의미란 무엇일까? 여러분은 학습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유의미한 행동의 변화일까요? 아니면 능력이 변화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학습의 정의를 나름대로 내려보겠습니다. 학습의 의미? 학습(學習)이라는 한자어를 풀면, 배우고 익힌다는 뜻입니다. 일정한 지식, 이해의 발달, 인식의 발전, 감정의 심화, 습관 형성 등 일련의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제반 행동을 말하지요. 학습은 여러 상황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는 과정, 혹은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기억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상기하는 일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변화'는 성숙과 학습을 통해 일어납니다. 성장이 유전적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다들 아시지요? 키와 몸무게 등은 유전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그런데 학습은 [환경]에서 더 큰 영향을 받습..
[영화] Fish is fish, 그리고 과학 교육 [영화] Fish is fish, 그리고 과학 교육 Fish is fish는 90년대부터 연구되어 온, 인지적 비평형, 오개념 등을 비유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언어적인 전달을 통해 바깥 세상이 어떠하다는 이야기를 개구리로부터 들은 물고기는 자신의 상상 안에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바깥 세계를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결국 물고기 스스로가 경험하기 전까지는 실재하지 않은, 머릿속의 세계일뿐이다. 이 이야기는 우리의 학교 과학교육, 과학 학습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을까? 첫째, 과학학습의 모델, 상호작용적 측면이 갖는 중요성 혼자서 하는 사고실험만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높은 수준의 학습자의 이야기가 아니라면, 어려운 일이다. 교수-학습의 이론은 보통 teaching과 learning의..
초등학교 과학교사의 정체성 초등학교 과학교사의 정체성이란 무엇일까? 정체성을 쉽게 정의내리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 정체성이 만들어지고, 이것을 돌아보는 과정에서 우리 삶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과학교사에게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는 정체성이란 어떤 것일까? 과학교사 중에서도 열정이 넘치시는 분들의 경험을 분석해 보면, 내러티브 형태로 그들의 경험이 드러날 것이다. 다수의 연구 결과는 초등교사들이 국어, 수학교과에 비해 과학을 가르치는 데 있어 덜 준비되고, 덜 잘 가르친다고 느낀다(e.g. Weiss et al., 2003). 예를 들면, 외국 논문에서도 초등교사는 국어를 86분, 수학은 56분, 과학은 21분을 가르쳤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초등교사들은 특히 과학 수업에 대해 자기 효능감(s..
과학 학습이란 무엇인가? 보통 학습의 핵심 개념은 교수학습으로 설명한다. 그렇다면, 과학학습을 실험으로만 설명할 수 있을까? 교수-학습의 이론: 보통 teaching과 learning의 관점으로 이야기 한다. 가르침이 있어야 배움이 있고,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interaction)은 매우 중요하다. ex) 비고츠키- 사회적 상호작용 : 인지심리학을 기반으로 하여 , 언어발달에 중점을 둠 결국 실험을 하고, 관찰을 하는 과학 과목이라 할지라도, 언어를 중심으로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언어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문자언어, 말하기언어, 바디랭귀지 등의 다양한 언어들이 어떻게 교실 현장에서 펼쳐지는지 살펴보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게 과학교사의 역할인 것이다.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초등교육과정 재구성 급변하는 기후에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 적정기술로 적용할 수 있는 한계는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 아이들의 발명교육과 접점은 어떻게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 초등교사로서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뿌듯함은, 초등교육과정이야말로 이러한 SES 측면에서 완벽한 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최적화되어있다는 점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지 교과 수업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예술적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역시 사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학교, 가정, 지역사회 단위로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구안해야합니다.
과학연구 중 실행연구를 어떻게 해야 할까? JRST: journey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 가장 첫번째 검색해야 할 논문임 science education: JRST와 맞먹는 탑 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IJSE ERIC 1. 국내학술지 인용 색인: kci.go.kr 2.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RISS Q. 실행연구란? - 교사 자신의 실천을 반성(reflection)하고, 계획하며, 그를 바탕으로 다시 수업실천1을 하는 것. 또 수업실천 1에 대한 반성을 하고, 다시 수업실천 2를 한 상태에서 반성을 하여 개선한다. 또 다시 이것이 수업실천 3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일어나는 향상과정(improvement)을 논문으로 기술하는데, 이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