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학습의 핵심 개념은 교수학습으로 설명한다.
그렇다면, 과학학습을 실험으로만 설명할 수 있을까?
교수-학습의 이론: 보통 teaching과 learning의 관점으로 이야기 한다.
가르침이 있어야 배움이 있고,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interaction)은 매우 중요하다.
ex) 비고츠키- 사회적 상호작용 : 인지심리학을 기반으로 하여 , 언어발달에 중점을 둠
결국 실험을 하고, 관찰을 하는 과학 과목이라 할지라도, 언어를 중심으로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언어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문자언어, 말하기언어, 바디랭귀지 등의 다양한 언어들이 어떻게 교실 현장에서 펼쳐지는지 살펴보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게 과학교사의 역할인 것이다.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의 의미란 무엇일까? (0) | 2021.03.17 |
---|---|
[영화] Fish is fish, 그리고 과학 교육 (0) | 2021.03.13 |
초등학교 과학교사의 정체성 (1) | 2021.03.11 |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초등교육과정 재구성 (0) | 2021.03.04 |
과학연구 중 실행연구를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1.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