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기후에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
적정기술로 적용할 수 있는 한계는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 아이들의 발명교육과 접점은 어떻게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
초등교사로서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뿌듯함은, 초등교육과정이야말로 이러한 SES 측면에서 완벽한 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최적화되어있다는 점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지 교과 수업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예술적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역시 사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학교, 가정, 지역사회 단위로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구안해야합니다.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의 의미란 무엇일까? (0) | 2021.03.17 |
---|---|
[영화] Fish is fish, 그리고 과학 교육 (0) | 2021.03.13 |
초등학교 과학교사의 정체성 (1) | 2021.03.11 |
과학 학습이란 무엇인가? (0) | 2021.03.09 |
과학연구 중 실행연구를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1.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