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141

SSI(Socio-scientific Issues)란 무엇인가? SSI(Socio-scientific Issues)란? 과학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은 과학 지식과 탐구 능력만이 아닙니다. 발전하는 과학기술은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었지만, 이에 따른 문제점들이 참 많지요 🤔 이에 과학교육에서는 STS 교육이 하나의 사조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나 STS교육은 지나치게 거시적이라는 비판이 있었습니다. 도덕, 윤리와 같은 인성 요소가 상대적으로 고려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보다는 그 문제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만 치중했기 때문입니다. 과학 관련 사회적 문제(Socio-Scientific Issues)는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회적 딜레마를 의미합니다. 유전 공학, 기후 변화, 생태계 파괴, 환경오염, 대체에너지, 동물실험 등의 문제가 이에 속..
[과학교육사] 과학적 학습과 고전적 학습의 차이점 1. 고전적 학습이란? 19c 초 성행했던 교육으로, 고전 언어를 학습하는데 치중했다. 사회적 계급의 장식으로 교육을 바라보았다. 한마디로 국, 영, 수 중심 교육이었다. 일반교양 교육의 목표는 고전과 수학 학습을 통해 지적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즉, 개인의 즐거움을 키우는데 목적이 있었다. 19c초의 교육은 부유한 사람과 대중을 차별화하는 계급의 장식에 지나지 않았다. 수학의 추론은 귀납이 아닌 연역적 추리. 2. 과학적 학습이란? 19c 중반에 접어들자, 시민들에게는 고전 교육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에 대해 현대화가 필요해졌다. 가장 좋은 정신훈련 준비가 고전 학습이 아닌, 과학이 되면서 과학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과학자들의 정신 도야는 '감각 인식'에서 끌어낸 지식이, 학습자에게 조직..
코로나 백신(화이자, 모더나) 접종 전 알아야 할 사항 3가지 드디어 백신 사용이 허가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접종이 시작되었습니다. 면역력을 높이고, 코로나에 우리 몸을 대비하게 만들어주는 화이자, 모더나와 같은 백신을 맞기 전에 알아야 할 사항은 없는지, 미리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먹지 말아야 할 것은? 코로나 백신을 접종할 즈음에 기저질환(당뇨, 혈압 등) 약물 복용을 피하거나 중단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일반의약품 복용은 권장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런 약들이 백신의 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히스타민제도 권장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오히려 술!!! 접종 전후로, 술을 마시지 않아야 합니다. 백신 맞고 나면 술 못 먹으니까~ 하는 생각..
STEAM 교육이 과학 교육에 던지는 의문. 융합 교육을 우리는 잘 하고 있는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과학의 목표는 모든 학생들의 과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두고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 문제, 생명공학과 관련된 생명 윤리 문제 등은 분야별 개별 지식들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을 이해하고 적절한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여러 학문 분야들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가지고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식을 고안해내야 할 것입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STEAM 교육(융합교육)입니다. STEAM 교육이란, 체계화된 지식을 강의를 통해 학생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이 스스로 주어진 문제를..
5학년 1학기 과학 4단원, 용해와 용액에 구성주의의 PBL을 적용해보자. 우리가 지금까지 다루었던 구성주의의 핵심 학습원리는 "상황적 학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지식이 만들어지고 습득되는 것은 항상 구체적인 상황 안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에 문제 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이하 PBL)은 구성주의의 학습 원칙을 충실히 반영하는 대표적인 학습 모형입니다. 오늘은 5학년 1학기의 [용해와 용액] 단원에 이 구성주의적 실천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학습 목표의 구체화 PBL에서 다루는 문제는 우선 비구조화된 것이어야 합니다. 즉, 정답이라는 형태로 제한되는 게 아니라, 여러 다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는 문제여야 합니다. 학교 상황에만 있는 '인위적' 문제가 아니라, 아주 실용적이고 현실적이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STS 과학교육에 대하여 STS교육이란, 과학-기술-사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통합된' 상황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 결정하는 능력을 강조합니다. 과학자가 될 학생들만이 아닌 '모두'를 위한 과학을 추구하는 기본적인 '과학적 소양'을 중시하는 것이죠(권용주 등, 1995). 이렇게 STS 교육은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학문적이거나 전문적인 과학보다는, 학생들의 일상생활 및 사회적 경험과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과학을 가르치는 교육 사조입니다. 조희형(1995)은 과학적 기술의 속성 등을 이해하는데 STS 교육이 효과적이라고 보았습니다. 현대 사회처럼 기술이 발달된 사회에 더욱 필요한 과학 수업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1. STS 교육과정은 무엇을 포함하여야 할까? Yager(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