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STS 과학교육에 대하여

by _❤

 STS교육이란, 과학-기술-사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통합된' 상황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 결정하는 능력을 강조합니다. 과학자가 될 학생들만이 아닌 '모두'를 위한 과학을 추구하는 기본적인 '과학적 소양'을 중시하는 것이죠(권용주 등, 1995).

  이렇게 STS 교육은 학생들에게 지나치게 학문적이거나 전문적인 과학보다는, 학생들의 일상생활 및 사회적 경험과 관련된 '문제'를 중심으로 과학을 가르치는 교육 사조입니다. 조희형(1995)은 과학적 기술의 속성 등을 이해하는데 STS 교육이 효과적이라고 보았습니다. 현대 사회처럼 기술이 발달된 사회에 더욱 필요한 과학 수업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1. STS 교육과정은 무엇을 포함하여야 할까?

  Yager(1984)는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포함하여야 할 8가지 STS 교육과정의 필수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습니다.  Yager(1984)는 그중에서도 첫 번째로 지역 사회와의 연관성을 제시합니다. 미국과학교사협회(NSTA, 1999-2000)도 STS 프로그램의 특징으로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문제를 근거로 할 것을 강조합니다. 특히, STS 수업은 구성주의 관점에 의한 교수학습 방법이므로, 학생들의 선지식, 선 개념 등에 기초하여 마련되어야 합니다.

 

 

2. STS 과학교육에 관한 연구 현황

  정미진 외(2008)에 따르면, STS교육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첫째, STS 교육에 대한 연구 주제 중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그다음으로 교육과정 및 교재에 대한 연구가 많았습니다. 반면에 교사 교육과 학습 평가에 대한 연구의 수는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 둘째, STS 교육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과학 분야는 생물 분야였습니다. 그다음으로 물리, 화학, 지구과학 분야에 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졌습니다. 반면에 환경 분야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습니다.
  • 셋째, STS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을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졌습니다.
  • 넷째, STS 수업모형의 적용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STS 수업모형은 전통적인 수업보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 학업 성취도, 탐구 능력, 환경에 대한 태도, 환경에 대한 지식의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환경에 대한 태도가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부터 STS 수업모형이 학문중심 과학교육에서 지향하는 지식, 개념 위주의 교육과는 달리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현명하고 합리적인 판단력을 양성하고자 하는 STS 교육의 목적을 충족시키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강인지, 하민수, 차희영. (2008). 울산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STS모듈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 생물교육학회, 36(1), 76-84.

정미진, 윤기순, 권덕기. (2008). 과학 교육에서 STS 수업모형의 적용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2(2), 51-70.

김민환, 김성훈, 노태희, 최숙영. (201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 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태도, STS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 과학교육학회, 39(6), 791-79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