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학습모형이란 무엇인가?

by _❤
반응형

모형이란 무엇인가요?

모형이란, 같은 형상의 물건을 만들기 위한 틀로서, 실물과 구조는 같지만 규모가 다른 본보기, 과학자가 설명하기 원하는 현상에 대한 통찰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간단한 구조체계를 뜻합니다. 즉 이전에 살펴본 학습이론은 추상적 속성을 갖게 때문에 결국 비유법이나 모형을 이용해 그 특성을 서술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포스팅에서는 세 가지의 학습 모형과 그들이 시사하는 과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1) 길버트의 학습 모형

  • 길버트(Gilbert, Osborne, & Fensham, 1982) 등은 현대 인식론, 구성주의 심리학을 모두 수용하여 학습의 의미를 해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몇 가지의 학습 모형을 제시합니다. 그들은 과학지식이 자연으로부터 그냥 발견된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상호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느냐에 다라 학습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과학 교수-학습], 조희형 저. 교육과학사. p.9.

 

  •  이 중 셋째 모형을 나타내는 위의 그림은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관련 선행지식이 그의 인지구조에 어느 정도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는 학습 형태를 말합니다. 이런 학습 과정에서는 과학 교사의 과학지식과, 아동의 선행지식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므로, 다양한 학습의 결과가 나타납니다.

 

 

2) 파인즈와 웨스트의 모형

  • 파인즈와 웨스트(Pines & West, 1986)는 구성주의 심리학자들보다 더 포괄적 의미로 학습을 정의합니다. 이들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학습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래서 학습자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주어진 정보를 획득, 이해하는 과정과 활동을 모두 학습으로 정의하였죠. 그러므로 학습 상황은 모두 다음의 4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파인즈와 웨스트의 학습상황(Pines & West, 1986)

 

  •  가) 이 중 갈등상황은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이미 파지 한 자연발생적 지식과, 과학수업에서의 형식적 지식이 일치되지 않고, 상충되거나 모순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  나) 형식, 상징적 상황은 학습자가 자연발생적 지식을 파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데, 형식적 지식이 제시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아이들은 유기화학을 처음으로 배워 벤젠 구조, 유도체 등에 대한 지식이 없는데 억지로 순수한 기호로 표현된 지식을 그대로 수용하게 됩니다. 
  •  다)는 나)의 상황과 반대로, 아이들이 이미 자연발생적 지식을 갖고 있는데, 형식적 지식이 제시되지 않았을 경우입니다. 자연에 대한 직접 경험, 문화, 종교, 사회적 관습 등에 대해 아이들이 지식을 갖고 있는데, 학교에서는 다루지 않았지요.
  •  라)는 학생들이 파지한 선행지식과, 형식적 지식이 일치하는 상황입니다. 학습할 내용과 관련이 있는 선행지식을 갖고 있는데 마침 학교에서 적절한 수준의 생물 지식을 제공해준다면 이런 상황이 될 것입니다.

 

이처럼 과학-학습 자료 개발의 준거로 이용 가능한 학습모형은 

1) 개념 형성 모형

2) 개념 조절 모형

3) 개념 대체 모형

과 같이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