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과학교육의 실험 실습에서 교사는 어떤 딜레마를 느끼고 있을까?

by _❤

실험, 실습은 과학 교육을 다른 과목을 차별화하는 중요한 특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중요하다고 받아들여지고 있는 과학의 실험 실습을 다른 관점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과학교육에서 실험 실습의 논란점

  •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비된다.
  • 실제 과학자들의 활동, 과학의 본성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 아무런 과학적 사고 없이, 요리책 식으로 실험 실습을 하는 것은 비판할 부분이다. (Jenkins, 1998; Solomon et al., 1995)
  • 교사들에게 실험 실습을 권고한다고, 학교 현장에 실제 변화가 생긴다는 보장이 없으며, 교사들이 스스로 철학적이고, 교육적 논제를 다룰 수 있을 때에 비로소 변화가 가능하다(Hodson,1998).

 

 

2. 초등 과학교사가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윤혜경, 2004 ; 이수아, 2007)

  • 과학지식과 개념 영역
  • 과학 실험실습 영역 : 지식이나 개념과 관련된 어려움보다 2배 이상 많았음.
    • 실험 결과가 이론과 다르게, 예상과 다르게 나온 경우
    • 실험 기구 사용법 및 탐구 과정을 지도해야 하는 경우
    • 사전 실험 및 실험 기구 준비가 미흡해서 어려움이 있는 경우(노후되거나 미비)
    • 안전사고의 위험이 많은 경우
    • 실험 준비 시간이 부족한 경우
  • 기타 영역(수업 지도 영역)

 

3. 초등 과학교사가 실험 실습에서 겪는 딜레마

(1) 교육과정, 교과서의 내용

  • 교과서의 실험은 정말 중요한 실험일까?
    • 교과서나 교육과정을 충실히 구현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교사 책임감을 느낀다(Arellano, 2001).
    •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의 정보가 부족하여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2) 학생과 관련한 내용

  • 수업에서의 안전과 통제가 보장되는가
  • 직접 실험을 통해 학생의 흥미와 참여도가 올라가는가
  • 교사에게 많은 책임이 전가된다는 것을 직접, 간접적으로 경험한 것 때문에 두려움이 있다. 
  • 학생들이 과학에 가진 견해, 신념이 실험실에 있는 교사에게는 도전이 될 수 있다(Leach, 1998).
    • 예) 실험 결과와 다른 내용을 말하는 경우
    • 학생들이 실험 결과를 미리 알고 있어 열심히 토론하려 들지 않는 경우
    • 상위권 학생과 하위권 학생의 차이

(3) 학교 실험 실습의 본성과 관련한 내용

  • 의도된 실험 결과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실험마다 특정한 지식과 기능이 요구된다.
  • 실험을 통한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귀납주의의 논리적 한계)
  • 예측과 다른 결과로부터 새로운 탐색을 해야 하는지, 지식과 실습 사이의 간극이 생길 수 있다(다른 실험 결과)
  • 과학 실험이 지식의 습득을 위한 것이라면, 참된 과학 탐구의 기회는?(Driver et al., 2000; Hodson, 1998; Wellington, 1998).

 

 

참고문헌: 윤혜경, 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