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인구가 감소하는 미래 사회에는 창조적인 과학 기술력 양성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서 STEAM이나 영재 교육 등의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부분은 모두가 동의하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실제적으로 과학 영재 교육과 관련한 연구들 중에서는, 교육의 대상자인 영재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많고 교사나 특히 수업 모형 자료 전략과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꽃 모형이란?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최규리(2014)는 기초 연구로 과학 영재 교육 현장에 대해 인식 조사하는 논문을 먼저 쓰고, 그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2013년에 창의 인성 중심의 과학 영재 교수학습 모형 개발 논문을 집필을 했습니다.
최규리(2014)가 개발한 과학 영재 교수학습 모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념, 정서, 과정, 행동 이 네 가지 축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축을 통합하여 리더십, 문제 중심, 과학 탐구, 융합 교육 이렇게 네 가지 측면의 교육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 모형을 편의상 잠재적인 연계성을 꽃피운다는 의미로 꽃 모형(blossom)이라고 이 논문에서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꽃 모형의 효과
이 꽃 모형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수 학습은 기본적으로 소그룹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한다고 합니다. 영재 학생들은 이미 학교에서 리더 역할을 수행하는 편이 많았기 때문에 꽃 모형 STEAM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합니다.
다만 시공간적인 재앙으로 이 프로그램에 맞게 인터뷰를 100% 성공한 모둠은 한 모둠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교육을 현장에 적용을 한 결과 학생들의 생각의 폭이 넓어지고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해요.
초등에서 만약에 적용한다면은 좀 난이도를 조절해서 다르게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진행해 본 이 피드백은 이 부분들을 진로와 연결시킬 수 있어서 좋았고 또 과학 지식을 어떻게 활용해야 되는지 실질적인 활용을 생각해 볼 수가 있어서 좋았다고 합니다. 과학 영재들은 심화된 학습에 대해서 학생들이 호기심을 많이 느끼고 호기심을 많이 느꼈다고 합니다.
뿐 아니라, 꽃 모형의 공학 예술 기반의 산출물을 생성하는 것이 학생들의 몰입과 호기심 증진에 도움이 되었다고 해요. 다만 이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지도함에 있어서 충분한 수업 시간을 확보하는 부분이 필요하고, 또 교사가 여러 가지 실제적인 학생들의 그러한 사고를 도울 만한 사고 기술을 제시하고 유도할 필요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문헌: 창의인성 중심 과학영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적 활용방안 탐색. 최규리(2014). 영재교육저널. v.24. no.4.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 (0) | 2021.11.29 |
---|---|
컴퓨팅 사고력과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0) | 2021.11.29 |
디자인 사업 기반 창의설계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 (0) | 2021.11.25 |
과학 영재들의 과학 긍정 경험 알아보기 (0) | 2021.11.25 |
과학 영재의 특수성과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0) | 2021.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