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SSI의 의사결정 과정과 과학의 본성과의 관계

by _❤
반응형

과학의 본성이란 무엇일까요? 현대 과학철학에서는 과학의 본성(NOT)을 사회적, 정치적, 윤리적 측면과 증거에 기반을 둔 과학 지식, 그리고 그것의 잠정적 측면 등을 강조합니다(lEDERMAN, 1992). 이는 우리가 지금까지 다루고 있는 SSI와도 자연스럽게 연결되지요. 

[과학교육] - 과학교육에서도 인성교육을 강조한다고?-SSI교육이 중요한 이유

 

과학교육에서도 인성교육을 강조한다고?-SSI교육이 중요한 이유

기후변화, 생명공학, 에너지 고갈로 인한 사회 문제 등 전 세계적으로 과학교육 연구자들이 SSI에 대해 대처하는 능력인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한 목소리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Sadler, 2004, NRC, 201

schoolforkids.tistory.com

1. SSI 의사결정에 과학의 본성(NOS)이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막상 과학의 본성과 SSI에 대한 의사결정을 연구한 연구들의 결과는 엇갈리고 있다고 합니다. 학생과 일반인의 SSI 의사결정 내용에는 정작 과학의 본성(가변성, 관찰의 이론 의존성, 사회 문화적 요소의 개입 등)에 대한 이해가 거의 드러나지 않기 때문입니다(Bell & Lederman, 2003; Eastwood et al., 2012; Grace & Ratcliffe, 2002).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적용하기보다는 과학적 사실, 개인적 의견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합니다(Walker & Zeidler, 2007). Zeidler et al.(2002)은 과학의 본성 중 일부(과학의 사회, 문화적 영향, 증거기반)만 소수 학생들의 응답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보고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학자들은 SSI 맥락에서 과학의 본성을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의사 결정해 본 기회가 적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즉, 과학의 본성(NOS)을 SSI 맥락에 활용하도록 돕는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Khisfe, 2012; Walker & Zeidler, 2007). 

 그 구체적인 사례로 Khishfe(2012)는 명시적인 교수법으로 학생들이 의사결정 과정에 과학의 본성을 직접적으로 적용하도록, 유전자 재조합 기술과 관련한 쟁점에 대해 논의를 프로그램으로 만들었습니다. 보통의 아이들이 과학의 본성을 거의 언급하지 않고, 개인의 가치관이나 경험, 신념 등에 의존하여 논의를 진행하는 반면에, 이 과학의 본성을 배운 아이들은 과학이 잠정적이고(tentative), 증거에 기반해야 하며(empirical), 주관적(subjective)이라는 언급을 더 많이 했다고 해요.

 

 

2. 왜 과학의 본성(NOS)이 드러나지 않을까?

 이현옥 외(2015)는 SSI 의사결정 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이 드러나지 않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추론하고 있습니다. 이 과학의 본성이란, 과학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인식론'이라는 것입니다(Lederman, 1992). 이거는 관점의 변화기 때문에, 의사결정에서는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단순한 지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는 과학의 본성이 SSI 맥락에 적용되기에는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하고 있습니다. 생명공학, 환경공학, 에너지 공학(재생 에너지 등) 기술 공학적인 특성은 순수 과학과는 조금의 거리가 있습니다. 보통의 SSI 문제에서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것이 '소비자'나 '공급자'와 같이 다양한 이해관계자라는 것을 고려할 때에, 이러한 맥락이 순수과학의 측면을 모두 포괄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출처: 이현옥 외(2015). 과학, 기술 관련 사회 쟁점(SSI)에 대한 학생들의 주요 의사결정 논점의 기술의 본성(NOT)적 해석, 한국 과학교육학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