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

왜 구성주의인가?

by _❤
반응형

구성주의라는 말, 지겹도록 많이 들어보셨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거의 대부분의 지도서 내용이 구성주의에 대한 내용들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과연 구성주의란 무엇이고, 왜 이렇게 우리 초등학교에서 구성주의를 강조하는지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구성주의는 무엇인가?

 한마디로  의미 만들기, 알아가기 이론이라고도 합니다. 

진행형으로, 어떤 완결된 형태와 구분됨. 그냥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인지적 작용을 가하면서, 주어진 사회현상의 이해를 지속적으로 구성해 가는 것을 말합니다. 그 결과로 생성되는 것이 지식인 것입니다. 

 따라서 구성주의는 개인의 인지적 요소뿐 아니라, 사회적 요소와 역할을 강조하며, 지식의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성격을 부인하고 있습니다. 개별성과 사회성이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신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고,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모두 강조합니다.

  이는 현실이 예측과 통제가 가능하고, 규칙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보는 객관주의와 대비됩니다. 교사가 미리 설계한 구체적인 학습목표라는 것을 거부하기 때문입니다. 구성주의에 따르면, 교사는 수업의 전체적 목표만 제시하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학습목표는 학생들이 스스로  흥미와 수준을 고려해 결정하게 됩니다. 

 

1-가.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원칙

1) 학습자와 학습에 대한 주인의식

2) 자아성찰적 실천

3) 협동학습 환경의 활용

4) 교사의 역할: 조언자이며, 배움을 함께 하는 동료 학습자

5) 구체적 상황을 배경으로 한 실제적 성격

 

 

2. 구성주의는 왜 중요한가?

1) 정보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창의성, 유연성,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을 지닌 학습자를 기르기에 중요.

 - 요즘처럼 사회와 교육 간 상호 역동적 관계가 활발한 정보화 시대에서는 학생들이 다양화된 사람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대처하는 역량을 길러야 합니다. 교사 중심보다는 학생 중심의 구성주의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2) 협동학습에 적절(개인의 인지적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 구성주의는 개인적 내면 자아성찰 외에도 사회적 상호작용과 활동을 매우 강조합니다. 학습을 도와주는 사람이 교사뿐 아니라, 동료 학생들인 것입니다. 따라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에 나설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구체적인 일상생활의 상황이 배경이 되는 구성주의가 아주 유용한 학습 이론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3. 구성주의의 다양성

 구성주의를 두 가지로 구분하는 준거가 되는 것은 개인의 인지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얼마만큼의 무게와 중요성을 두느냐입니다. 

1) 인지적 구성주의

- 지식의 형성과정에서 인간의 개별적 인지적 작용을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봅니다. 대표적으로 유명한 Piaget, von Glasersfeld(1989), Fosnot(1992), Cobb(1933). 그래서 상대적으로 사회적, 문화적 요인은 크게 고려되지 않았지요. 특히 피아제에게는 인간들의 상호작용보다는 물체와의 상호작용적 측면이 강합니다. 

2)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 사회적 상호관계를 개인의 인지적 발달뿐 아니라 지식을 구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봅니다. 이들은 지식 구성에 필요한 구성요소로서 인지적 작용과 사회적 작용 간의 밀접한 상호 관련성, 상호 보완성을 강조합니다. 물론 이것이 개개인의 독특함과 개별성을 부정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개개인의 개별성 위에 탄력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독특한 특성을 지닌 사회 역사적 요소가 가미되어 생성된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문헌:

강인애(1970),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시대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