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방법론

근거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by _❤

근거이론은 특정한 사회현상에 대하여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거나, 기존의 사회현상에 대하여 새로운 이해를 얻기 위해서 실제적 분야를 탐색하는 질적연구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근거이론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근거이론의 장점

  • 연구자 및 독자들에게 특정한 사회현상에 대하여 직관력을 제공하고, 이해를 강화함으로써 인간의 행위(action)와 상호작용(interaction)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다(Strauss & Corbin, 1998: 10-11).
  • 인간의 행위와 상호작용을 둘러싼 과정(process)과 궤적(trajectory)에 대하여 추상적 개념화와 이론화를 시도하여 사회적 실재에 대한 실체적 이론(substantive theory)뿐만 아니라, 형식적 이론(formal theory)을 생성할 수 있는 유용한 질적 연구방법론으로 평가받고 있다(Stern, 2001: 14).
  •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은 창의적이고 역동적이며, 유동적이고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정형화된 방법이 있을 수 없다(Strauss & Corbin, 1998).

 

2. 근거이론의 철학

  •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프래그머티즘의 지식철학에 기초한 근거 이론방법론은 지식이 주체의 행위와 상호작용을 통해 창조된다고 가정한다.
  • 지식은 대상세계가 무엇인지에 대한 진술이 아니라, 수행된 행위 즉, 자기반성적 존재인 인간의 행위 및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생한다(Dewey, 1929).
  • 인간의 활동은 자동적 혹은 습관적으로 반응할 수 없는 특정한 문제 상황(problematic situation)에 의해서 촉진된다.
  • Dewey(1929)에 따르면 “모든 반성적인 탐구는 상황 그 자체로서 해결될 수 없는 문제적 상황에서 시작된다.”
  • 행위자(actor)에게 중요한 이슈는 바로 문제해결과정(BSP)이다.
  • 문제해결에 대한 정답은 불확실하여, 행위자들의 임시방편적인 대응에 따라 발생한 후속적 행위와 결과에 의해서 적절성이 판단된다(Dewey, 1929).
  • 인간의 사고활동은 독창적이라기보다는 일시적인 측면이 있으며, 인간의 기억과 회상은 직간접적으로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3. 근거이론의 방법론

  • 근거 이론방법론은 자료로부터 개념적 범주와 특징 혹은 속성을 발견하고, 범주들 사이에서 생성된 가설 혹은 관계를 진술하는 데 있다. 추상화 정도가 낮은 하위범주(sub-category)는 분석의 초기국면에서 나타나며, 상위범주는 하위범주들 사이의 개념적 관계를 통해 생성된다(Glaser & Strauss, 1967: 60-63).
  • 근거이론방법론에서 생성된 개념들(코드-하위범주-범주)은 분석적이어야 하며, 의미 있는 상황을 도출할 수 있는 개념적 민감성을 지녀야 한다(Glaser & Strauss, 1967: 63).
  • 근거이론의 핵심이라 볼 수 있는 가설은 개념들의 상호관계와 축적 그리고 발전을 통하여 범주와 속성을 드러내고 통합하여 이론적 틀을 구성한다.
  • 개념들의 귀납적 전개에서 비롯된 가설의 진술은 연구자의 섣부른 해석보다 철저한 개념적 비교분석에서 비롯된다. 근
  • 거이론방법론은 자료로부터 이론을 생성하기 때문에 이론적 표본추출(theoretical sampling)을 강조한다(Glaser & Strauss, 1967: 69). 따라서 근거이론방법론에서의 표본추출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연구과정을 통해서 어떤 자료를 어디에서 수집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유동적이고 불확실한 특징을 지닌다.
  • 근거이론방법론에서의 이론적 표본추출은 지속적으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며, 분석자에게 연구에 대한 목표와 자신감을 제공한다(Glaser & Strauss, 1967: 111). 이론적으로 적합한 표본추출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이론적 민감성(theoretical sensitivity)’이 필요하다.
  • 근거이론방법론에서의 이론적 민감성이란 개념의 발견과 범주화에 대한 연구자의 특수한 감각 혹은 통찰을 의미하는데, 연구의 국면에 따라 연구자의 이론적 민감성은 지속적으로 발전한다. 이론적 민감성은 분석자의 개인적, 기질적 취향을 성찰하고, 이론적 편향성을 경계하여 연구주제에 대한 이론적 통찰을 얻는 데 있다(Glaser & Strauss, 1967: 70-71).
  • 이론적 표본추출을 어느 시기에 멈추어야 할지는 이론적 포화도(theoretical saturation)에 따라 결정된다. 하지만 분석자가 사전에 이론적 포화도를 예상하기는 힘들며, 단지 연구가 종료된 시점에서 사례(개인) 혹은 집단의 수를 가늠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근거이론방법론을 활용하는 분석자는 핵심범주(core category)를 발견하기 위해서 특정 집단의 한 가지 사건만 주목하지 않으면서, 자료수집의 중지단계를 인지해야 한다. 결국, 연구대상과 연구주제에 대한 최고의 예측과 설명력을 지닌 추상적 범주로서 핵심범주는 이론적 포화의 지표로 볼 수 있다. 이론적 표본추출은 연구의 초기국면에서 집중적으로 이뤄지기보다는 자료 분석 이후에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자료 분석을 통해 생성된 개념들은 이론적 표본추출의 시기와 방향을 결정하며, 이론적 표본추출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또다시 변화된 개념들을 생성한다(Glaser & Strauss, 1967: 93-115).

 

 

출처: 이동성 and 김영천. (2012).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열린 교육연구, 20(2), 1-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