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교육

국어과의 미디어 리터러시(미디어 소양)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by _❤
반응형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소양, 미디어 소양, 과학적 소양 등 다양한 개념들이 범람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어과 교육부의 지도서에 수록된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미디어 리터러시란?

미디어 리터러시는 신문, 텔레비전, 컴퓨터, 휴대전화를 포함한 다양한 매체에서 문자, 그림, 음성등의 여러 가지 형식으로 표현된 자료들을 분석, 평가하고, 이를 책임감 있게 이용하면서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능력(정현선 외, 2016)

 

2.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진 지식 기반 사회
  • 정보의 과잉 및 질적 저하라는 부작용
  • 미디어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고 분석, 평가하며, 창조하는 능력이 필요
  • 미디어 리터러시는 구어, 문어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 의사소통뿐 아니라, 문자, 음성, 이미지, 그래픽, 동영상 등을 포함한 복합 양식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고, 활용하는 능력으로 확장함.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역량, 자료 및 정보 활용 역량, 비판적, 창의적 사고 역량과 관련이 있음
  • 국어과의 경우에는 확장된 기호 차원에서 미디어 텍스트에 담긴 의미, 미디어가 의미를 만들어내는 방법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비판적 읽기, 창의적인 텍스트 생산,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한 미디어 리터러시 영역을 다룸
  •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는 그림책, 만화, 영화, 광고, 뉴스, 문자 메시지, ppt, 동영상 제작 등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음.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임
  • 확장하는 미디어 생태계에서 살아가는 학생들에게는 콘텐츠의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해야 함

 

 

3. 관련 성취 기준

  • [6국 01-05]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한다.
  • [6국 02-05] 매체에 따른 다양한 읽기 방법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적용하며 읽는다.
  • [6국 03-02] 목적이나 주제에 따라 알맞은 내용과 매체를 선정하여 글을 쓴다.
  • [6국 01-06] 드러나지 않거나 생략된 내용을 추론하며 듣는다.
  • [6국 01-07] 상대가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듣는 태도를 지닌다.
  • [6국 02-01] 읽기는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임을 이해하고 글을 읽는다.
  • [6국 02-04] 글을 읽고 내용의 타당성과 표현의 적절성을 판단한다.
  • [6국 02-06] 자신의 읽기 습관을 점검하여 스스로 글을 찾아 읽는 태도를 지닌다.
  • [6국 03-01] 쓰기는 절차에 따라 의미를 구성하고 표현하는 과정임을 이해하고 글을 쓴다.
  • [6국 03-03] 목적이나 대상에 따라 알맞은 형식과 자료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글을 쓴다.
  • [6국 03-04] 적절한 근거와 알맞은 표현을 사용하여 주장하는 글을 쓴다.
  • [6국 03-05] 체험한 일에 대한 감상이 드러나게 글을 쓴다.
  • [6국 03-06]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며 글을 쓰는 태도를 지닌다.
  • [6국 04-01] 언어는 생각을 표현하며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수단임을 이해하고 국어 생활을 한다.
  • [6국 04-06] 일상생활에서 국어를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를 지닌다.
  • [6국 05-02] 작품 속 세계와 현실 세계를 비교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 [6국 05-04] 일상생활의 경험을 이야기나 극의 형식으로 표현한다.
  • [6국 05-05]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바탕으로 하여 다른 사람과 적극적으로 소통한다.
  • [6국 05-06] 작품에서 얻은 깨달음을 바탕으로 하여 바람직한 삶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태도를 지닌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