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구성주의의 원리를 알아보자.

by _❤
반응형

구성주의는 인식론과 학습 이론의 한 형태로서, 지식의 본질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아이들이 어떻게 학습하는지를 다루고 있는 이론이다. 오늘은 이 구성주의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구성주의의 배경

  • 구성주의는 정보화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보화와 구성주의는 서로 상승 작용을 하고 있다. 정보 기술의 발전은 구성주의 이론을 구체적으로 실현시켜 주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
  • 정보화 사회는 그 자체의 발전을 위하여 창의적·비판적 사고, 유연성 있는 문제 해결 능력, 정보를 효율 적으로 분석·종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을 필요로 하고 있다.
  • 그런데 이러한 능력은 전통적인 방법을 통한 지식 습득만으로는 불가능하다.

 

2. 내생적 구성주의와 구분되는 변증법적 구성주의

  • 내생적 구성주의
    • 지식: 변화하는 지식들. 사회 세계 속에서 개별 적으로 구성됨
    • 학습자가 초래한 것에 바탕을 둠
    • 학습: 능동적 구성, 이전 지 식의 재구조화
    • 이미 알고 있는 것에 관련시키기 위한 여러 기회와 다양한 과정을 통하여 일어남
  • 변증법적 구성주의 지식: 사회적으로 구성된 지식
    • 참여자가 함께 구성하고 기여한 것에 바탕을 둠
    • 학습: 사회적으로 정의된 지식과 가치에 관한 협동적 구성 ·사회적으로 구성된 기회를 통하여 일어남

 

3. 구성주의 학습의 일반 원리(Fosnot, 1996)

① 학습은 발달의 결과가 아니라, 학습이 곧 발달이다.

학습은 학습자 스스로의 발명과 자기 조직화를 필요로 한다.

② 불균형이 학습을 촉진한다.

인지적 갈등과 혼란은 학습을 위한 자극이며, 이것이 학습될 내용의 조직과 본질을 결정한다.

③ 반성적 추상화가 학습의 원동력이다.

인간은 의미의 구성자로서 다양한 경험을 표상적인 방식으로 조직·일반화하고자 하므로, 반성적인 작문을 통해 성찰의 시간을 주어야 한다.

④ 학습은 본래 사회적·대화적이다.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대화가 깊이 있는 사고를 촉진시켜 준다.

⑤ 학습은 구조의 발달을 지향한다.

학습자들이 의미 구성을 위해 노력할 때, 관점에 점진적인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져 보다 큰 아이디어를 구성하게 되며, 이것은 곧 다양한 경험에 일반화될 수 있는 핵심 조직 원리가 된다.

 

참고문헌: 추병완(2000), 구성주의의 교육적 함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