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시민 과학에 대해 알아보자.

by _❤
반응형

시민 과학의 관점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나요? 시민 과학이란, 사회에 과학적 참여를 확장하여 자신의 배움을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 활용하는 것입니다.

 

1. 과학 교육의 목표에 주요한 시민 과학

학습자가 실제 세계 속에서 복잡한 사회 맥락을 고려해서 지식을 종합하고 재창조해서,  사회 안에서 과학의 역할에 대해 가지 가치관과 견해를 개발하는 것은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는 과학 교육의 주요 목표입니다.

과학적 참여가 강조되는 과학 교육에서 지향해야 될 방향이기도 하지요(Hodson, 2010). 우리 교사들은 이러한 방향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민으로서의 과학적 참여를 강조하며 과학 수업과 실제 세계와의 연결의 목적을 사회 안에서 과학의 역할을 이해하고 참여하려는 태도를 확립하기 위해서 실천을 유도하여야 할 것입니다.

 

2. 시민 과학의 좋은 주제_ 적정기술

구체적인 사례로 적정기술이라는 주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적정기술이란 경제적 교육적 여건이 빈곤하여 기술 발전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소외계층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특히 개발도상국 국가라는 점에서, 인류에게 필요한 기술이지요. 학생의 일상을 벗어난 범위의 사회과학적 문제일 수 있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도 확장할 수 있습니다. 과학을 활용하는 시각과 태도가 모두를 위한 관점으로 변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개인의 책임감이 모이고 사회를 발전시키는 공동체의 움직임으로 세상의 변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교사의 과학적 참여를 고려한 수업에 대한 신념이 이 적정 기술을 통해 고려될 수도 있습니다.

 

3. 시민 과학의 핵심은 실천 경험과 학습자 주도성

이 향운과 임미연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실천 경험의 강조가 과학 학습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과학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지금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는 참여로서의 학습이란 상황 학습론의 관점으로도 설명될 수 있는데요. 대부분의 교사들이 현재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을 미래에 혹은 학교 밖을 나가서 사용할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실제로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은 교실 밖이 아니라 지금 바로 여기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왜냐하면 과학적 판단 능력과 과학적 가치관은 매우 중요한데 교육과정 안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학생들이 나중에 자연스럽게 얻어질 것이라 생각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학생들이 실제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과학적 참여에 대한 어려움을 깨닫기도 하고 또 실제적인 어려움이 무엇인지 그것을 극복하는 경험을 통해 실천에 기반한 구체적인 지식을 구성해 나갈 수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입시나 수업 시수 확보 등의 어려움이 중고등학교에서는 존재하는데 초등학교라면 이러한 어려움들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막연하게 그렇다고 해서 학생들에게 과학적 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에서 끝나서는 안 됩니다. 참여의 실천적 측면을 실제로 학생들이 설계하고 참여를 경험해야 합니다. 그래야 실행 가능성을 가진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겁니다. 저는 이 부분에 매우 동의를 하는 바입니다.

 

다양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학생들의 의미 있는 성장을 위해서 교사는 이런 실천적 지식에 더 힘을 쏟아야 하지 않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과학적 참여 과정에서 사고하는 행동하는 경험 자체가 학습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과학적 참여는 가장 중요한 게 지속적이고 반복적이어야 합니다. 이렇게 반복되는 성찰과 주도적을 실천할 수 있는 과학적 참여의 관점과 태도는 역량을 만들어 나가는 데 중요한 배경이 됩니다. 이게 바로 과학적 소양의 밑거름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지속적인 과학적 참여가 일어났을 때 일상생활 속에서 참여의 태도는 자연스럽게 나타날 것입니다. 이때 과학 교육에서 학습자가 주인공이 되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사는 교실에서 과학적 참여를 안내하는 중계자가 되어야 합니다.

 

이게 바로 학습자 주도성(Smith, 2002)입니다. 교사들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과 맥락 속에서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주체적으로 실천하며 지식을 생성하고 책임져 나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래서 교사는 일종의 사회자가 되고 학생은 주인공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학습자 중심으로써 과학적 참여를 했을 때 타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개개인의 주도적이고 맥락적인 과학적 참여의 경험이 주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영은 자신의 참여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죠.

 

참고문헌: 이 향운, 임미연. (2022). 과학적 참여로서의 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실천적 이해 탐색. 교과교육학 연구, 26, 191-20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