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방법론

질적연구 방법론 중 현상학적 연구에 대해 알아보자.

by _❤
반응형

현상학적 연구는 기본의 인과관계, 법칙성을 중시하는 전통적 과학 방법과 달리, 경험과 의미를 중시하는 방법론입니다.  그래서 주로 인간 경험과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데요.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현상학적 연구란?

  • 내러티브연구가 개인, 몇 사람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보고한다면, 현상학적 연구는 하나의 개념, 현상에 대해 개인들이 체험의 공통 의미를 기술해 내는 방법을 활용한다(p.102)
  • 현상학의 기본적인 목적은 현상에 대한 개인의 경험에서 보편적 본질에 대한 기술을 포착하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은 그들이 '무엇'을 경험했는지와 그것을 '어떻게' 경험했는지로 구성된다(Moustakas, 1994).
  • 현상학은 '무엇'과 '어떻게'에 관한 경험을 통합하여 개인들이 경험한 본질을 논의하는 기술적인 구절로 끝이 나고, '본질'은 현상학적 연구의 궁극적인 측면이 된다(p.105)

 

현상학의 철학적 관점

Stewart와 Michunas(1990)가 강조하는 현상학의 4가지 철학적 관점

  • 경험과학에 빠지기 이전의 지혜에 대한 추구
  • 전제(presupposition)가 없는 것, 연구자가 경험하는 주관적, 객관적 경험에 의한 모든 것의 판단중지(epoche)가 필요함.
  • 의식의 지향성(intentionality of consciousness): 실재는 주체와 객체로 나누어지지 않아 있고, 의식은 항상 객체를 지향한다. 
  • 주체와 객체에 대한 이분법을 거부: 결국 한 객체의 실재는 개인 경험의 의미 내에서만 인식된다(p.103).

 

현상학과 해석학의 차이

  • 현상학
    • 경험을 중심으로 한 철학적 방법론으로, 현대 철학의 대표적인 분야 중 하나
    • 현상학은 인간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인식과 인식을 통해 생성되는 개념에 대한 연구를 중시
    • 인간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과 이해를 중시
  • 해석학
    • 문학, 예술,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방법론으로, 주로 텍스트나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사용됨
    • 인간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문화적 측면을 중시
    • 해석학적 방법론은 대상의 문화적 배경과 문화적 의미에 대한 이해를 중시
  • 두 방법론의 차이점은 연구하는 대상에 있음.
    • 현상학은 주로 인간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이고, 해석학은 주로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론임. 두 방법론은 모두 대상의 경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상학의 유형

  • 해석학적 현상학(Van Manen, 1990)
    • 현상학은 기술일 뿐이 아니라, 연구자가 체험의 의미에 대해 해석하는 과정으로, 상이한 의미 사이를 '조정하는 것'을 강조.
  • 경험적(초월적, 심리학적) 현상학(Moustakas, 1994)
    • 연구자의 해석에 덜 초점을 둔다.
    • 판단 중지에 초점을 두고, 연구자의 경험과 생각을 배제한다. 
    • 사람들의 경험에 대한 조직적 기술(textual destcription, 연구참여자 개인의 경험)과 구조적 기술(structural destcription, 조건, 상황, 맥락에 따른 경험)을 결합하여 본질에 다가간다(p.105-106)

 

현상학적 연구의 절차(Moustakas, 1994, p.106-108)

  • 첫째, 현상학에 가장 적합한 문제 유형을 선택한다.
    • 한 가지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들의 공통된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 이 문제는 현상학 연구에 가장 적합함
    • 실천이나 정책 개발을 위하여, 현상의 특성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
  • 둘째, 연구의 관심이 되는 현상을 확인한다.
  • 셋째, 현상학의 광범위한 철학적 가정들을 인식하고 상술한다.
    • 연구 참여자들이 바라보는 현상을 완전히 기술하기 위해, 연구자 자신의 경험을 가능한 한 많이 배제시킨다(괄호 치기, 판단 중지)
  • 넷째, 현상을 경험해 온 개인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한다.
    • 주로 심층면접과 여러 면접으로 구성되며, 관찰, 예술, 시 등의 형태, 간접 경험하는 자료들도 가능하다.
  •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에게 질문을 수집한다. 
    • 현상에 관하여 무엇을 경험하였는지?
    • 현상에 대한 경험에 전형적으로 영향을 준 맥락이나 상황은 무엇인지?
    • 위와 같이 조직적 기술과 구조적 기술을 이끌어내는 질문을 제공한다. 
  • 여섯째, 현상학적 자료를 분석한다.
    • 수집된 자료와 질문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진술, 문장, 인용문을 강조하여 주제로 발전시킨다.
    • 이것을 수평화(horizonalization)라고 한다(Moustakas, 1994).
  • 경험한 것에 대한 기술을 작성하는 조직적 기술, 연구 참여자의 경험에 영향을 미친 맥락이나 상황에 대한 기술(= 상상적 변형, 구조적 기술)을 덧붙인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본질적인 불변구조라고 부르는 복합적 기술을 작성한다. 

 

 

 

출처: John,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조흥식 외 공역), 다섯 가지 접근. 서울. 학지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