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한국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어떻게 현장에서 드러날 것인가?

by _❤

한국의 교육과정은 92년 개정 및 고시된 제6차 교육과정에서 시도 교육청 및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권이 제시된 이후로 줄곧 지역화의 방향을 고수해 왔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가 설치되면서 초등 교육에 관한 권한도 점차 지역으로 옮겨가는 추세지요.

 

더군다나 최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지역 분권화 및 학교 교사 자율성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강화하겠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다양한 교과의 교육과정 중에서도 과학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과학교육과정의 특성

  • SSI(socioscientific Issues) 
  • STS(science technology-society)
  • SAQ(socially Acute questions)
  • 과학에서의 교육 내용은 모두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Sadler, 2009).
  • 과학교육의 교육 내용 및 방법은 사회문화적인 요소에 따라 달라진다(Roth&Tobin,2006).
  • 최근 과학교육에서도 비형식 과학학습(informal science learning)의 중요성이 높아졌다(김찬종, 신명경, 이성경, 2010).
  • 과학교육에서 환경교육이 확대되고, ai, 기후위기 교육 등 과학과 교육과정은 지역화에 있어 큰 강점이 있다.
  • 그러나 초 연결사회임을 고려할 때, 자연적 특성만을 수업 소재로 지역화하는 것만으로는 의미가 없다.
  • 본인이 경험한 장소를 중심으로 과학과 지역화를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2.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동향 분석(천주영 외, 2021)

  • 지역화: 지역 교육과정보다 교육과정 지역화의 개념을 전문가들이 더 정책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지역화는 교육과정의 재구성과 연계되거나, 자율성 측면에 주목하는 인식이 있다.
  • 교사 교육과정과 선순환적 연계 지점이 있다.
  •  
  •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시간의 흐름에 다라 내실화되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 교육과정 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 단순히 학습 장소나, 소재만 지역화되고 있다.
  • 교육과정의 '지침'도 사회, 국가 정책에 의해 밀접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 향후 교육과정 지역화를 위한 정책이 '지침'구성의 자율성을 일관적, 명시적으로 보장해야 한다.
  • 지역별 지침이 지역화되기 위하여 어느 수준까지 주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 교육과정이 지나치게 표준화되고 있지는 않는지 검토해야 한다.

2022.02.21 - [금융교육] - '교사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교사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얼마 전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함께 실천하는 교사 교육과정'이란 책자가 각급 학교로 배부되었습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자율화, 분권화를 기반으로 한 교사 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있지요.

schoolforkids.tistory.com

3.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및 지역화의 연계(천주영 외, 2021).

  • 초등학교 3~4학년군 성취기준 57개, 5~6학년군 56개, 총 113개를 분석한 결과, 성취기준이 지식, 인지과정 차원에만 집중되어 있는 문제가 있다.
  •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의 과학 교과 핵심 역량 5가지가 아닌,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다.
  • 학년에 따라 인지과정 차원 또한 위계화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
  • 성취기준의 서술어 사용이 보다 다양하고, 명료화하여야 한다.
  • 2015 개정 과학과 지침은 다양한 탐구 활동과 수업활동을 추구한다.
  • 현행 성취기준의 적절성에 대한 의문이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현재처럼 완성된 문장 형태의 성취기준이 근본적인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 앞으로 교사 자율성에 기반한 교육과정이 강화될 흐름이 예상된다.
  • 과학과 고유의 특성(과학의 본성, 수행 역량 등)에 주목한 성취기준 변화가 구체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 학습해야 할 과학과 핵심 개념(core idea)은 고정적일지라도, 과학의 본성이나 과학과 수행 역량 관련 성취기준에 있어서는 지역화가 가능하다.

 

 

참고문헌: 천주영 외(2021).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6), 483-499.

천주영 외(2021). 한국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동향 분석 연구: 초등학교 시도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7), 915-93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