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연구 논문을 하루에 1개 읽지 않는 이상, 많은 연구자들은 대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먼저 자신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다음에 설명한 4단계는 여기에 도움이 될 것이다.
1. 흥미로운 화제 찾기
- 핵심 개념어가 뭔지 정확히 없는 경우, 필자의 관심이 어디에 있는지 우선 찾는다. 다른 사람들의 관심은 버린다.
- 스스로 무엇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은지 생각한다.
- 공적인 화제, 정치, 수업, tv 등에서 거슬리는 것을 찾는다.
- 도서관 잡지를 펴서, 흥미를 끄는 제목을 찾는다.
- 웹사이트, 포럼, 동호회에서 논쟁이 붙은 내용을 찾아본다.
- 수업시간에 토론하는 내용 중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을 교수님께 물어본다.
- 공부하는 분야의 최신 백과사전을 살펴본다.
- 공부하는 분야의 신간 서평, 학술지를 살펴본다.
2. 보편적인 화제를 구체적인 화제로 바꾸기
보편적인 화제가 백과사전의 영역 분류라면, 구체적인 화제는 그 화제의 맥락, 연관성, 특성이 담긴 것이다.
따라서 '지렁이의 영역 습성'이 보편적인 화제라면,
'지렁이의 영역 보호 습성'과 아이들의 습성의 비슷한 점으로 구체적인 화제를 잡을 수 있다.
구체적인 화제를 잘 찾기 위해서는 화제에 대한 글을 많이 읽어야 한다.
잘 알지 못하는 대상에 대한 맥락과 특성을 잡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3. 화제에 대한 질문하기
다음의 다섯 가지 질문을 내가 선택한 화제에 대해 던져본다.
(1) 구체적인 화제를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그 개별적인 요소가 무엇이고,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
- 지렁이의 영역 보호 습성과 암수 지렁이의 습성에는 무슨 연관이 있지?
(2) 화제를 일련의 과정을 바꾼다. 어떻게 시작해서 어떻게 끝맺는지, 시간의 선상에 놓고 따져본다.
- 지렁이가 알 때부터 자라 성충이 되기까지 영역 보호 습성이 어떻게 변하더라?
(3) 자신이 선택한 화제를 더 큰 체계(system) 속에 넣어본다. 다른 화제들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살펴본다.
- 지렁이를 포함하고 있는 땅은 어떤 습성이 있을까?
(4) 자신이 선택한 화제 이전에 어떤 일이 오고, 그 이후에는 어떤 일이 오는지 살펴본다.
- 지렁이가 죽은 뒤에는 토양이 어떻게 변화하는가?
(5) 자신이 선택한 화제의 질을 검토한다.
- 내가 지렁이를 연구하면 이것이 갖는 가치는 무엇인가?
이 과정에서 질문의 의미에 초점이 맞춰지게 된다.
4. 질문을 문제로 바꾸기
화제에 대해 더 많이 알수록, 가장 좋은 질문을 문제로 바꾼다.
예를 들면,
학교 폭력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문제를 풀지 않았을 때 어떻게 되는가?),
학교폭력 발생률을 줄이기 위해서,
나는 학생들의 정서적 상호작용 문제에 대해 연구한다.
출처: 논증의 탄생, 조셉 윌리엄스 외(2008), 홍문각
'연구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보고서에서 목차를 자동으로 넣는 방법 (2) | 2021.10.22 |
---|---|
논문에서의 내 주장이 의미있는지 판단하는 3가지 기준 (0) | 2021.10.14 |
논문의 결론을 쓰는 5단계 (0) | 2021.10.14 |
논문에서 서론을 쓰는 3단계 (0) | 2021.10.14 |
순수 학문과 실용 학문의 차이점(feat. 개념문제와 실용문제) (0) | 2021.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