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107

#1단계. 애니어그램으로 학생을 더 이해해보자! #1단계. 애니어그램으로 학생을 더 이해해보자! 아이들의 성격은 그 생김새만큼이나 다양하다. 애니어그램은 심리적에너지 선호도(사고, 감정, 행동)에 따라서 성격을 분류하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람에게 어떤 두려움이란 감정이 생기면, 그 약점에 집착하고 이걸 해결하기 위해 욕망하게 된다. 정체를 모르는 엄청난 불안감이 휘감았을 때, 감정을 분간하기가 어렵고, 이리저리 흔들리게 된다. 무서운 마음이 커서 주위 사람에게 무조건 의지하고 싶어진다. 이때 의식이 높은 사람은 자기 발견을 하고, 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의 본질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가장 큰 행복은 불행의 근원을 아는 것이라고 도스토예프스키가 말했다. 카렌 호나이는 신경증이 이상적인 자아 때문에 진정한 자아를 버리는 과정이라고 설명..
조현병 가진 아동을 지도하는 방법 조현병은 대략 100명당 1명 꼴로 발병한다. 비교적 흔한 질병이라는 것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비상식적인 생각과 인식이 있다. 환각, 망상, 사고 장애, 계획을 세우고 행동을 개시하고 일상 활동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능력이 감소한다. 주의력이나 기억력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1. 조현병에 대한 고정관념 조현병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들이 있다. 조현병은 다중인격이 아니다. 자아감의 분열, 주관적 세계와 객관적 세계의 관계 이상이 발생한다. 대부분 폭력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아직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조현병은 뇌에 발생한 심각한 장애다.. 2. 조현병 유전자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 자손을 낳아 다음 세대에 유전자를 물려줄 가능성이 매우 낮음에도 전체 인구 속 조현병 환자 비율은 유지되고 있다..
불안을 잘 느끼는 아이에게도 장점이 있다. 범불안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사회 불안 장애, 강박 장애로 나뉘며, 미국 의료비용의 1/3(연간 450억 달러) 불안장애에 대한 의료비용으로 지출되는 질병. 여성 대 남성이 3:2로 여성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질병. 어떤 것일까? 그렇다. 불안장애라고 한다. 불안장애는 위험을 알리는 환경의 변화를 끊임없이 경계하는 편도체라는 곳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불안’과 ‘공포’는 때로 서로 혼용해 쓰기도 하지만, 불안이 알 수 없는 대상을 향한 막연한 걱정이라고 하는 반면, 공포는 알려진 구체적인 실체를 향한 강렬한 두려움을 말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공포와 불안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우리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어떤 냄새를 맡거나 소리를 듣거나 무언가를 보거나 만지거나 맛 보..
언택트시대, 아이들의 감정케어는 어떻게 해야할까? 4차산업혁명이다, AI교육이다 뭐다 발달된 기술의 진보는 화려하지만 그 이면에 가려진 아이들의 감정은 외면받고 있다. 하루종일 스마트폰을 쥐고 살지만, 그들의 멘탈은 케어받지 못하고 있다. 울려대는 진동과 변화무쌍한 화면만이 아이들의 대뇌피질을 자극할 뿐이다. 어떻게 하면 아이들의 마음을 다스려줄 수 있을까. 딱딱하고 무미건조한 스마트폰과 컴 화면에서 벗어나 몸을 움직이며 조금이라도 부모와 함께 소통할 수 있을까. 여러모로 힘든 시기다. 문제는 이 시기가 쉽게 끝날 것 같지 않다는 거다.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염원만으로 해결될 것 같지 않다. 새로운 뉴 노멀로서 온라인에서의 소통이 기본이 되는 시대가 이미 와버렸다. 정해진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말이다. 크게만 벌어지는 학력격차, 학습부진만큼 아이들의 ..
지능의 여러 가지 빚깔 중세의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가정이나 수도원에서 보살핌을 받았다.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지적장애인들은 공적으로 운영하는 대규모 시설에 수용되었다. 1970년대에 울프 울펜스버거의 연구 결과로 지적장애가 있는 많은 사람은 시설에서 나와 가정적인 분위기의 주거 환경에 배치되었다. 울프 울펜스버거의 발달모델은 행동의 수정 가능성을 낙관적으로 보고, 지능 발달이 더딘 사람들의 차이에 지나치게 부정적인 가치를 부여하지 않는다. 지체가 심하다 해도 지능 발달이 더딘 이들에게 성장과 발전 가능성, 학습 능력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그의 정상화 이론은 ‘정상적인’ 환경에 있을 때 정상적으로 행동할 것이라는 개념에 기초했다. 우리가 가진 지적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에는 무엇이 있을까? 아마도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