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김종욱(2021)의 박사 학위 논문에서 알게 된 과학적 소양, 참여와 실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과학적 소양에 대한 Roberts(2007)의 구분
- VISON 1: 자연 과학 정통의 카논(cannon, 규범)을 지향하는 것으로 과학 그 자체의 산물과 과정
- 과학의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해를 강조함
- 예: AAAS(1989)
- VISION2: 시민으로서 마주칠 수 있는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서, 과학이 사회적인 상황에 합법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 초점
- 과학과 기술, 사회와의 관계, SSI에서의 의사결정 문제 등
2. 양극단에 있는 과학적 소양, 과연 옳은가?(Sjöström & Eilks, 2018).
- VISION3의 과학적 소양
- 빌둥: 비판적인 능력을 지니고, 자기 결정적이고 주체적인 인격의 도야. 개인의 발달 과정이나 그 과정의 결과
- VISION3는 빌둥에 기반한 과학적 소양의 비전을 상정하고 있음.
- 즉, Sjöström& Eilks(2018)은 '대화적 해방, 비판적 세계 시민 의식, 사회-생태 정의(socio-ecojustice)를 목표로 하는 과학 교육의 정치화된 비전임
- VISION1의 '과학, 기술의 발전을 바탕으로 한 현대사회가 얼마나 인간의 가치를 훼손하고 억압하는가?'
- VISION2보다는 조금 더 급진적. 실질적, 논쟁적인 이슈에 대한 관심이 있음.
3. 과학적 소양이란
- 1950년대 말,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과학 교육과정이 무엇으로 구성되어야 할지에 대한 관심에서 탐색되기 시작함(Hurd, 1958).
- 이후의 교육자들은 과학적 소양이 무엇이며, 어떤 요소로 구성되어야 할지에 대한 주장을 해옴
- 그러나 너무 다양한 요소, 애매한 개념표현이라는 비판이 있음(Laugksch, 2000).
- 과학적 소양은 정치적 흐름과 사회적 요구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함.
참고문헌:
김종욱(2021), 실천지향 기후변화 활동 참여를 통한 초등학생의 실행 과정에서의 기후 실천가 정체성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교육에서의 집단 창의성 교육, 디자인적 사고는 어떤 역할을 할지 알아보자. (0) | 2023.09.11 |
---|---|
과학교육에서의 평가(Evaluation)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9.08 |
생산적 과학 참여란 무엇일까? (0) | 2023.08.28 |
디자인 기반 과학(DBS)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8.22 |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성취에 관한 선행연구를 알아보자. (0) | 2023.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