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태교육

환경 실천 역량에 대해 알아보자.

by _❤
반응형

환경교육에 대한 관심은 교육과정, 급식 시스템 등 학교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제 환경교육의 목적이 환경 행동이나 환경소양이 아닌 '실천역량'의 함양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Stephens, 2015). 오늘은 환경실천역량의 개념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천역량이 무엇이길래?

  • 실천역량 연구는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Chen & Liu, 2020).
  • 직업교육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실천역량은 지속가능 경영과 관련한 역량, 의학 역량, 일반 역량 등 여러 역량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다(Lans et al., 2014; Wesselink et al., 2015). 
  • 실천역량 도입 이전의 환경교육 목표는 환경'행동의 변화', 환경'소양의 함양'이었다. 이때에는 지식, 환경 태도, 환경 기능을 포함한 환경 소양이 중요한 연구주제였다. 
  • 그냥 역량보다 응용된 개념인 '실천역량'이 환경 교육에 먼저 도입되면서, 환경 역량과 실천 역량은 환경교육의 역량 교육에서 중요한 두 개념으로 발전해 온 것이다. 
  • 백성희 외(2021)는 다른 분야에서의 '실천역량'과의 혼동을 막기 위하여 '환경실천역량'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2. 환경실천역량의 대두

  • 환경교육분야에서는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실천 역량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 우리나라는 2010년대부터 환경역량의 의의, 구성요소, 검사도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환경교육이 역량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실천(action) 중심의 실천역량으로 논의가 시작되었다.
  • 환경교육에서는 행위자(agent)의 의도된 행위(action)를 행동(behavior)나 활동(activity)과 구분하여 강조한다(서은정, 류재명, 2014).
  • 기존 환경교육의 지식, 행동, 소양, 학습과정의 대안으로 실천역량이 제시되면서 학생들이 민주적 과정에 참여하는 능력과 의지를 개발하는 환경교육의 필요성이 더 커졌다. 
  • 실천역량과 환경소양, 환경역량이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환경 역량은 환경 소양 기반과 역량 기반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정희라 등, 2020).

 

참고문헌: 백성희, 신현정, 김찬종(2021). 환경실천역량에 대한 이론적 고찰. 환경교육, 34권 2호, pp.136-15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