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과 생태 전환교육을 연결하여 가르치면 얼마나 좋을까요?
2021.05.27 - [AI교육] - 바다를 위한 AI 학습을 교실에서 직접 해보자! Code.org의 생태교육 적용
기후위기 시대에 우리의 생존된 생태교육만큼이나 중요한 인공지능 교육을 어떻게 진행해 나가야 할지, 우리 CIA 연구회 선생님들과 고민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고민으로 이루어진 활동들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저작권은 CIA인공지능교육 교사연구회에 있습니다.
동기유발과 문제 확인
인공지능 로봇에게 생물인 펭귄을 소개해 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스토리텔링을 통해 수업을 시작합니다.
2060년 선생님은 과학자가 되어 '꽁지'라는 인공지능 로봇을 개발하고 사랑으로 키우는데요. 그러던 어느 날...!!
꽁지가 말합니다.
"박사님, 저 펭귄이 보고 싶어요!"
그런데 문제는 꽁지는 태어나서 한 번도 펭귄을 본 적이 없다는 겁니다.😂
아이들은 펭귄이 어떻게 생기는지 모르는 친구가 거의 없는데, 이 꽁지를 도와줄 수 있겠지요?
이때 유용한 것이 '의사결정 나무'입니다!
이때, 아이들에게 의사결정 나무의 원리를 알려줍니다. 관련 학습지를 첨부합니다.
의사결정 나무란, 가장 위 지점부터, 가지가 끝나는 지점까지 뻗어나가는 모델을 말하는데요. 중요한 기준을 설정하고 알맞게 선택할 때에 사용합니다.
2022.05.25 - [AI교육] - 의사결정 나무의 특징과 장단점
아이들에게 의사결정 나무를 어떤 상황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을지 이야기를 이끌어 내봅니다.
활동 1. 의사결정 나무의 특징을 바나나를 분류해보면서 찾아보기
의사결정 나무가 무엇인지 알아본 뒤에는 직접 그려보면서 특성을 익혀보는데요.
신선한 바나나, 맛있는 바나나가 무엇인지 알고리즘을 통해 나타내어 보자고 합니다.
좋은 바나나를 고르려면 기준이 있어야겠죠?
생각보다 아이들이 곧잘 따라 그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어떤 아이는 "선생님, 그럼 스무고개 같은 거네요?"라고 예리하게 짚어냅니다.
이런 기준이 있다면, 어떤 바나의 데이터라 하더라도, 이것이 알려주는 기준에 따라 좋은 바나나인지 여부를 걸러낼 수 있겠지요?
활동 2. 펭귄을 알려주는 의사결정 나무 만들기
위의 활동을 바탕으로, 이제 아이들은 의사결정 나무가 무엇인지 그 특징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펭귄 찾기 의사결정 나무를 활용하여 꽁지에게 펭귄을 알려 줄 수 있게 되었어요.
분류를 위하여, 북극곰, 펭귄, 고릴라, 기린, 도둑갈매기와 같은 다양한 동물들의 사진을 2부씩 복사하여 배부해 주었습니다. 기준과 가지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필요한 사진도 많아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주의하실 점!!!
이 나무를 그리려면, 펭귄의 생물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패드를 주지 않고, 그냥 진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질문 폭격에 대답해야 합니다.
- 펭귄의 사는 곳이 어디인가요?
- 펭귄은 새인 가요?
- 도둑갈매기의 사는 곳은 어디인가요?
- 고릴라는 초식동물인가요?
- 도둑갈매기는 초식동물인가요?
따라서 이 질문에 답하기 힘드시다면, 아이들에게 미리 패드를 나누어 주실 것을 권합니다.
나름 아이들이 꽁지에게 알려주려는 사명감을 갖고 열심히 조사에 임하는 모습을 보실 수 있어요. 😍
펭귄 찾는 의사결정 나무 그리기 활동 결과
선생님이 나누어준 자료들을 바탕으로 아이들의 논리적 사고가 발휘되어 훌륭한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예시로 들었던 의사결정 나무에 기초하여 그린 아이도 있고, 의사결정 나무를 아예 위로 그린 창의적인 친구들도 있었어요. 사진이 좀 부족했던 친구들은 글씨로 때우기도 했습니다.
시간이 남은 친구들은 뒷면에 동물원을 자유롭게 상상하여 그리기로 마무리하였습니다. 😁😁😁
'AI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홈 미니 와이파이 바뀌었을 때, 재설정하는 방법 (0) | 2022.06.19 |
---|---|
AI웹툰 플랫폼, 투닝(tooning)- 교육자용 PRO무료 사용 방법 (0) | 2022.06.08 |
의사결정나무의 특징과 장단점 (0) | 2022.05.24 |
쏠리, 신한은행 AI 인공지능 상담서비스로 보는 미래 직업 (0) | 2022.05.15 |
통그라미: 데이터 시각화를 이용하는 방법 (ft. 대한민국 통계청) (0) | 2022.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