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은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포함되었으나,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서 세부 내용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고 있습니다. 오늘은 박신희 외(2022) 논문을 참고하여 SSI 연구에 드러난 평생학습적 요소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과학에 대한 인식
- Herman(2018): SSI교육 전에는 과학 및 기술에 과도한 특권적 지위를 부여하는 ‘과학만능주의’와 유사한 견해가 많았음. 그러나 교육 후 과학적 지식과 함께 다른 특정 요소를 함께 언급하는 견해가 증가하였음. 이는 SSI교육이 학교 밖에서 과학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할 수 있음을 의미함
- Lee& Zeidler(2020): 유전자 변형 기술에 관한 ssi 프로그램 참여. 불확실성에 대한 편협함, 과학만능주의, 경쟁심, 편리하고 쉬운 합의의 4가지 현상을 드러냄
2) 과학과 일상의 연결
- 학습 맥락이 일상생활과 관련한 쟁점을 수반할 때,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 및 동기가 증진될 수 있다(Albe, 2008; Roth & Lee, 2004; Zeidler et al., 209).
- Sutter et al.(2019): 지역의 풍력 에너지 문제-> 지역 기반 SSI 교육 필요
- Herman(2018): 지역에 기반한 허드슨만 프로젝트 - Roth & Lee(2004): 삶과 관련한 실제적이고 지역적 쟁점의 탐구에 의미 있게 참여할 수 있음을 주장.
- Iversen &Jonsdottir(2019): 환경적 시민성의 실천을 위해,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학교 밖 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함.
- Kim, Ko & Lee(2020)_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Socioscientific Issues Program (SSI-COMM) on Promoting Students’ Sense of Place and Character as Citizens: 441명의 중1 학생에게 통계적 유의미함.
3) 참여적 시민성의 촉진
- Bencze, Sperling, & Carter(2012), ‘STEPWISE(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Promoting Well-being for individuals, Societies and Environmennt)'는 교육과정에서 SSI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 유용함을 연구함
-STEPWISE의 내용
가) 교사 혹은 학생에 의해 선택된 중요한 SSI에 대한 학생의 현재 이해를 표현하고, 토의하도록 학생을 격려한다.
나) 현대의 연구 결과가 무엇이든, 문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과학 내용지식을 토론하고 강화시킨다.
다) 쟁점을 뒷받침하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윤리적 생각을 이해한다.
라) 학생들에게 쟁점에 대한 그들의 연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마)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서로 연관되고 가능한 중재의 종류를 생각해 본다.
바) 개인, 단체 수준에서의 행동에 참여한다.
사) 취한 행동의 효과와 타당성을 평가하고 다른 사람들과 알게 된 점과 비판 사항을 의사소통한다.
- Hodson(2017) : 이러한 STEPWISE를 지지함. 협력보다 경쟁, 학습 결과의 측정, 교사 중심 교육은 학생들에게 그들의 지식과 기술, 가치와 경험을 불신하고 저평가하도록 이끌었다. 학생들의 사회, 정치적 참여 및 실천을 가능케 하는 교육과정과 그것을 지지하는 교사의 역할을 강조함.
4) 정체성의 구성
- Hwang(2018), Carlone, Johnson, & Scott(2015): 과학 학습을 통한 공동체의 참여는 정체성의 발달 과정으로 볼 수 있음. 학습자가 지닌 다양한 사회, 문화적 정체성은 학습의 긍정적인 자원임. SSI교육은 학생들에게 성찰의 과정을 풍부하게 제공하고, 정체성의 구성 및 발전에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는 시도를 보여줌
- Bosser & Lindahl(2019): positioning theory를 사용하여 교사와 학생 간 담화의 상호작용을 분석함. SSI교육은 학생들을 독립적인 학습자이자 토론 및 의사 결정의 참가자로서 위치시킴! 특히, 학생들을 SSI와 관련한 주요한 사회적 구성원으로 위치시키는 교실 상황은 그들로 하여금 교육에 대한 주체적 권한을 가질 수 있게 함
- Ideland & Malmberg(2012): Roberts(2007)의 vision 2를 인식하는 과학 교실의 담화 연구. SSI에 대한 학생들의 담론은 ‘학교 과학 담화’, ‘신체 담화’, ‘일반적 학교 담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사회 문화적으로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담화가 다른 방식으로 사용됨을 발견함.
- Es& Oz turk (2021) : SSI의 다차원적 구조를 파악하는 모듈 ‘SEE-STEP’을 통해 학습자들이 다양한 사회, 문화적 영향으로부터 그들의 가치와 관점을 확립해감을 보여줌. SSI 기반한 교육 모듈은 학생들로 하여금 지역적, 장기적, 세계적 수준에서 사고하는 능력을 향상하고, 일상에서 마주할 문제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기여한다.
- 공통적으로 학교 과학교육을 넘어, 학교와 사회의 연결을 통한 사회, 문화적 맥락을 강조함. 이는 평생학습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사회적 상황들을 경험하고, 인식한 내용을 인지적, 정서적, 실제적인 것으로 전환하며 개인적인 전기로의 통합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개인을 만들어내는 과정(Javis, 2018)으로 이해할 수 있음.
참고 문헌: 박신희, & 김찬종. (2022). 평생학습적 시각을 통해 바라본 SSI 교육과 과학적 소양. 한국 과학교육 학회지, 42(1), 61-75.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체에서의 열 전도 현상(스테인리스판vs구리판) (0) | 2022.11.12 |
---|---|
5학년 1학기 온도와 열. 초등과학에서 알아야 할 지식 모음 (0) | 2022.11.07 |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과학적 참여 (0) | 2022.10.23 |
전지 관련 초등 과학 교육(물리) 강의 내용 정리 (0) | 2022.10.17 |
Kolb의 경험학습 이론을 살펴보자. (1)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