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과 관련하여 사회, 윤리적 문제들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런 쟁점들에 대해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과학교육분야에서도 '과학적 소양'함양이라는 목표 하에, 과학기술 관련 사회 쟁점의 도입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사회 쟁점을 지도할 때, 교사에게는 어떤 지식이 필요한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SSI 교육의 효과
과학지식은 물론이고, 문제해결력, 논증, 글쓰기, 의사결정 능력 등의 고등 사고능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의사소통 능력, 협업능력과 같은 시민 역량도 좋아집니다.
인성 함양 측면에서도 도움이 됩니다.(Albe, 2008; Dori, Tal & Tsaushu, 2003).
2. SSI 교육이 현장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 간 학문적인 속성
- 쟁점 자체가 순수 과학적 내용에 제한되지 않고, 기술과 공학, 사회, 정치, 경제 같은 인문사회적 측면을 융합하기 때문이다(Zeidler & Nichols, 2009).
- 가치중립적, 정답이 있는 내용을 과학 수업에서 다루어야 한다는 과학 교사들의 암묵적 신념이 도덕, 윤리, 사회적 측면에서 불편감을 느끼게 한다(Cotton, 2006; Cross & Price, 1996).
- 비구조화된 문제 상황
- 정답이 없는 논쟁을 어떻게 이끌어나가야 할지에 대해 어려움을 표현하는 교사들이 많다(Forbes & Davis, 2008).
- 첨단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 부족
- 교사 스스로의 교수 역량에 대한 의심이 있다.
- 환경적 요소(Cross& Price, 1996)
- SSI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부족, 과학 시수, 교육과정 운영의 융통성 부족, 학교 분위기
3. SSI에 적합한 PCK란?
PCK란 교과 교육학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으로, 교과 내용이나 주제에 따라 서로 다른 탐구 방법이나 교수법을 요구하는 주제 특이적 특성을 지닌 개념입니다.
PCK의 요소는 크게 3가지입니다.
- SSI 교수 방법에 관한 지식
- SSI 학습 평가에 대한 지식
- 학생의 학습 환경에 관한 지식
참고문헌: 이현주(2016), 과학기술 관련 사회 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교육학적 지식(SSI-PICK) 요소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적 방법과 사고, 과학의 본성에 비추어본다면? (0) | 2021.11.16 |
---|---|
신 진보주의에서 과학적 소양이란? (0) | 2021.11.09 |
2021년, 10월. 나로호가 아닌 누리호! 대한민국 순수기술로 만든 인공위성 (0) | 2021.10.22 |
존 듀이가 주장한 경험- 학교에서는 어떤 경험을 교사는 제공해야 하는가? (0) | 2021.10.19 |
미국의 학교 과학에서의 실험 실습의 의미 3가지 (0) | 2021.10.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