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방법론

[질적연구] 자문화기술지란?

by _❤

 안녕하세요 올라피샘입니다:) 오늘은 질적연구 중에서도 자문화기술지라는 연구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적연구가 양적연구보다 힘들고, 시간이 많이 드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데이터 수집이 질적연구에서 정말 어렵기 때문입니다. 예전 포스팅에서도 말씀 드렸듯, 삼각 검증법을 이용하지요~! (모르시는 분들은 다음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1.03.20 - [연구방법론] - [연구방법론]질적연구의 삼각 검증- 관찰, 필드노트, 면담

 

[연구방법론]질적연구의 삼각 검증- 관찰, 필드노트, 면담

[연구방법론]질적연구의 삼각 검증- 관찰, 필드노트, 면담 안녕하세요 올라피샘입니다 :) 오늘은 질적연구의 연구 방법중에서 삼각 검증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전의 연구 의미,

schoolforkids.tistory.com

비디오 촬영도 해야 하죠, 인터뷰도 해야 하죠,,, 약속잡기 쉽지도 않고, 원하는 자료가 나온다는 보장도 없죠ㅠ

 

그런데, 이 자문화기술지는 이러한 복!잡!한! 삼각검증법의 부담이 상당히 줄어드는 연구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질적연구처럼, 방대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자문화기술지, 궁금하시죠?

[목차]

     

     

    1. 전통적 문화기술지란?

     원래 문화기술지는 낯선 것을 친숙하게 바라보는 3인칭 관찰자 시점을 사용했던 연구입니다. 대표적으로는 제인구달의 침팬지 연구가 있습니다.  침팬지의 독특한 공동체문화를 경험하기 위해 제인구달 연구자는 아프리카 대륙에 가서 무려 몇 달을 살았다고 하죠. 침팬지 집단 가운데 들어가서요! ㅠㅠ 세상에.... 

     이렇게 집단에 들어가서 생활하다보면, 외부에서는 볼 수 없는 내부의 이야기를 자세하게 알 수가 있게 됩니다. 

    전통적 문화기술지의 대표적 연구-제인구달

     

    2. 자문화기술지란?

     전통적 문화기술지와는 다르게, 1인칭 관찰자 시점(나는~)에서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보통 연구에서는 "나는~"이라는 표현을 허용하지 않는데요. 자문화기술지의 연구 대상은 연구자 및 연구자와 긴밀하게 관련된 집단, 타자들의 삶의 이야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자만이 알고 있는 그 집단의 내밀한 문화를 밝히는데 유용한 것이죠. 그래서 연구자 자신이 연구 참여자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내러티브의 분석 및 해석 과정에 자신이 참여합니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연구참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기억을 회상하고, 자기 치료적인 효과를 얻는다는 점에서 생애사 연구와는 구별됩니다. 저는 석사 논문으로 생애사연구를 했는데, 자문화기술지라는 이 방법으로 연구를 했다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그래서 reflection이라는 성찰이 아니라, reflextion이라는 반영성이 드러나는 연구이죠. 

     

    가) 자문화기술지의 인식론 및 존재론적 전제

     - 개인의 주관성은 선천적으로 주어지는게 아니고, 사회적으로 형성되며, 한 개인이 조우하는 타자와 외부 세계에 대한 메타적 인식과 대화의 산물입니다. 그래서 자문화기술지는 개인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삶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사회적 변화를 위한 대화 및 토론의 장을 마련하는데 기여한다는 점도 재미있습니다. 약간 정치적이라고 봐야 되겠죠..? 그래서 자문화기술지는 전통적 문화기술자의 통상적 화자, 객관적인 연구자의 입장을 채택하지는 않습니다.

     

     

     

    나) 자문화기술지의 의의

     - 교육과정을 재개념화한 파이너는 자문화기술지에 대한 비판을 반박하며, 오늘날의 학교교육이 지나치게 객관성을 강조하여, 개인의 주관성과 자아를 상실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여러분도 학교가 너무 객관적이라고 생각하진 않으시나요?

     

    학교의 모든 아이들이 행복할까요?

    자문화기술지가 오히려 교수법,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사의 삶을 진솔하게 제시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반성하게 한다는 거죠. 교사의 자문화기술지는 학생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학생들과의 관계 개선을 촉구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발생한 학습 경험을 묘사하여, 교사나 행정가들이 학생의 학습과정 및 결과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다) 자문화 기술지의 분석과 기술

    분석과 해석, 구조분석 등을 통해 전체적인 질적자료의 반복적 읽기가 이루어지고, 하나의 일관된 이야기를 구성하는 얼개가 만들어지는 방식으로 분석이 이루어집니다(Ellis, 2004).

    자문화기술지의 실험적, 참여적인 글쓰기는 은유를 즐겨 사용합니다. 은유는 단순한 이야기가 전달할 수 없는 이미지나 장면을 연출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결국, 우리가 연구 방법을 선택할 때에, 우리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인 자아와 얼마나 관련되고 개입되는지에 따라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을 택할 수 있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