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방법론

실행연구의 특징

by _❤
반응형

자연과학적 연구 방법론으로는 우리 사회 현상을 모두 적확하게 그려내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사회현상을 이해하는데 더 적합한 실천, 교육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사회적 구조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실행 연구는 실천을 하면서 이루어지고, 듀이가 얘기하는 것처럼 'learning by doing'과 그 맥을 같이합니다. 오늘은 실행 연구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행연구에서의 교사는 어떤 존재일까?

가) 연구자로서의 교사(Teacehr as a researcher)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는 그 자체로 연구자가 되어야 합니다. 전통적으로 훈련된 교육이론이 무력하다면, 교육을 실행하는 교사의 역할이 정말 중요한 거죠. 

나) 구체적인 실행 방법(수업)의 끊임없는 개선

다) 시스템 개혁

  • 그래서 우리의 수업이 제한되고 억압된다면, 그 시스템을 개혁할 필요성까지도 제안하고 있습니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도 승진제로 대변되는 교사 시스템에 반발하여 실천 교사 모임, 교사노조 등으로 그 단체들도 생겨나고 있지요. 실천에 기반한 교육을 하자는 목소리입니다. 교육부에서 내려보내는 행정적인 움직임을 거부하자는 움직임도 있고요. 바로 이런 흐름들이 실행 연구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실행연구를 주장한 학자들

  • dewey는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 학자입니다. 경험주의적 철학자라고 합니다. 인간과 환경이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지요. 그래서 지식과 실천의 괴리를 지적한 바 있습니다. 이 괴리가 어쩔 수 없는 게 아니고, 최소화되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 Lewin은 더 나아가서, 반성적 사고를 강조하며 사회 변화에 동참할 것을 주장합니다. 자연과학적 연구 방법에 대한 한계를 주장했습니다. 연구자가 지속적으로 성찰하면서, 연구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문제 상황에 대한 행동을 강조하기도 하였습니다. 모든 학문에는 그 전통주의적 학파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해도 유학에서 출발해서, 자연과학, 공학, 사회과학 등으로 그 스펙트럼이 넓어지며 철학이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실행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합니다. 

 

3. 실행연구의 질문과 특징

가) 선행 연구들이 현장에 잘 적용되고 있는가?

나) 전문가들의 연구는 교사의 궁금증에 명쾌한 해답을 내놓고 있는가?

다) 실행연구로 범주화될 수 있는 연구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가?

라) 실행연구의 결과를 반영했을 때, 현장이나 시스템이 실제적으로 개선되는가?

 

  • 이렇게 실행연구는 참여를 강조합니다. 혼자 하기보다는 동료 교사와의 협업을 강조하지요.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담임교사, 학년제이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들이 정말 중요합니다. 때문에 사회적입니다. 사회현상을 다루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같이 만들어갑니다. 그래서 실제적이고 협동적인 것이지요. 실행 연구는 일반화를 위한 연구가 아닙니다. 우리가 실제적으로 이 현상을 어떻게 하면 더 나아지게 만들 수 있을지 비판적으로 생각해보는 reflection의 과정이 반드시 병행됩니다. 

 

결국 실행연구는 이런 방식으로 우리의 실천을 억압하는 것들에 대해 해방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다시 성찰을 통해 현실에 반영시키고, 또다시 연구를 하는 등 순환적인 모습도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