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태교육

기후변화 대응 실천 역량에 대해 알아보자(이명원 외, 2021)

by _❤
반응형

기후변화교육은 ‘기후변화의 적응과 완화를 위해 시민으로서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가치관 등을 배양하고 이를 실천하도록 하는 교육’(환경부, 2015)입니다. 오늘은 기후변화 교육 중에서도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환경교육 분야에서 실천역량의 연구 배경

  • ‘기후 소양(climate literacy)’(김찬국과 최돈형, 2010; 박혜경과 정철, 2014; Azevedo & - Marques, 2017; Bedford, 2016; Choi 등, 2021) , ‘생태시민성(ecological citizenship)’(김찬국, 2013; Wolf, Brown, Conway, 2009; Park & Kim, 2020) 등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들이 이뤄져 왔음.
  • 최근에는 실천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증가(주은경과 최도성, 2017; Busch et al., 2019; Busch, Henderson, Stevenson, 2019; Park & Kim, 2020; Trott, 2021)

 
 

실천역량이란?

  • 이명원 외(2021): ‘실천 역량(action competence)’의 기본 정의를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고 자신이 무엇을 할지 스스로 혹은 공동으로 결정한 것에 기반해 의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
  • McCelland(1973): 역량은 ‘인간이 상황 속에서 자발적으로 대처하는 능력’ 혹은 ‘개인의 삶에서 이뤄지는 성취’ 
  • Mogensen & Schnack(2010) : 실천역량(action competence)은 1980년대 덴마크의 환경․보건 분야에서 등장한 대안적 교육 개념, ‘실천(action) 4)’의 개념은 행동(behavior) 혹은 활동(activity)과 구분됨(Jensen & Schnack, 1997)
  • 실천이 행동과 다른 점은 의도성, 즉 의식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Almers, 2013).
  • 실천역량을 실천적 추론(practical reasoning), 과학적 능력(scientific capability), 과학적 문해력(scientific literacy) 개념과 동일 선상에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음(Bishop & Scott, 1998; Cavagnetto, 2010)
  • Schnack(1994)은 실천역량을 ‘비판적 사고와 불완전한 지식에 기초하여 더 인간적인 사회를 위한 책임 있는 실천에 개인 혹은 집단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
  • 실천역량 연구가 주로 환경 분야에서 이뤄지면서 자연스럽게 환경행동, 환경역량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왔으나, 백성희 등(2021)은 실천 역량이 경영(Lans, Blok, Wesselink, 2014), 의학(Scholz et al., 2018), ICT (Kurt et al, 2013) 등 여러 분야로 확산됨에 따라 대상을 명확히 지칭하는 ‘환경실천역량’이라는 용어를 제안함.

 

기후변화 연구의 필요성

  • 기후변화는 과학과 사회에 바탕을 둔 복잡하고 다차원적이며 비구조적인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 중 하나(Zeidler & Sadler, 2005),
  • ‘기후변화를 위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1988년에 설립될 정도로 일찍부터 긴밀한 국제 공조를 시작한 문제 
  • 지구 시스템 속에서 전지구적으로 원인과 결과가 복잡한 현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개인적인 행동 외에 지역 사회 차원의 행동이 요구됨(Hamiliton, 2017; Swim et al., 2017)
  •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결과를 만들어내는데, 결과가 다시 원인으로 작용하는 피드백 현상이 존재하며, 시간과 공간 규모도 다양함(강진영, 2021)

 

시사점 

  • Olsson 등 (2020)에서 지식을 ‘실천 가능성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action possibilities)’로 제시한 것처럼 지식 자체도 과학적․사회적 ‘내용 지식’과 실천방법에 대한 ‘실천 지식’, ‘이해나 인식’ 등으로 그 성격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으므로 실천역량에서의 지식의 역할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
  • 실천역량은 개인적 역량에 해당하지만, 기후변화를 다룰 때는 집단적 요소와 사회․정책적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함 
  • ‘기후변화 감수성’이 특히 중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이는 대중들이 기후변화를 가까운 위협으로 잘 느끼지 않기 때문이다(Hung, 2014).
  • 느껴지지 않는 위협에 대한 책임감을 요구하기는 어려우므로 기후변화를 인식하고 공감하는 능력과 기후변화 위험에 대한 민감성이 필요
  • 통합적 사고’라는 범주로 묶였던 패널들의 의견에는 ‘시스템 사고, 기후변화에 대한 빅아이디어 이해, 통찰 능력’등이 있었는데, 이는 기후변화가 일반 환경 문제들에 비해 시공간적 규모가 지구 규모로 거대하며, 정치, 사회, 경제적 요인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잡성, 불확실성, 간학문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역량이다.
  • 기후변화 대응 활동에서 높은 실천역량을 보여주는 시민단체나 학교 동아리 활동 사례 연구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도출된 ‘기후변화대응 실천역량’을 발전시키는 후속 연구가 필요
  •  

이명원, 신현정, 가석현, 김찬종(2021),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실천역량 탐색, 환경교육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