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교육

협력적 의사소통이 무엇인지 알아보자(박재현 외, 2019)

by _❤
반응형

OECD(1997)는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의 역량에서 이질적 집단에서 상호작용하기를 강조하면서 협력적 토의를 중요하게 다룬 바 있습니다. 오늘은 협력적 의사소통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존 의사소통 능력 평가의 한계점

  • 대체로 말하기 능력을 평가
  • 말하기 중에서도 개인의 일방향적 ‘표현 능력’ 측정에 중점
  • 상호작용인 경우에도 토의, 토론처럼 ‘특정 담화 유형’의 수행 능력을 평가하였음.
  • 이러한 의사소통 평가는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는 여러 제약이 있음(조재윤, 2006; 박지현, 2015; 박종훈, 2016)
  • 집단 활동을 하기 위한 능력이 필요한데, 여기에는 조정하기, 의사소통하기, 갈등 해결하기, 의사결정하기, 문제 해결하기, 협상하기 등이 포함됨. 이러한 연구는 비교적 특정한 상황에 한정된 의사소통 기능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음(p. 78)

 

2. 협력적 의사소통과 협력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의 차이

  • 강조점에서 차이가 있음.
  • 협력이 직접적으로 수식하는 대상이 ‘문제 해결’인 경우 후자이고, ‘의사소통’인 경우 전자임.
  • 협력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이란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뿐만 아니라, 그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적 협력’을 포괄하는 개념임.

 

3. 협력적 의사소통의 개념

  • PISA(2015): 협력적 상황에서 개인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하는 협력적 문제해결력(Collaboratie Problem Solving Competency: CPS Competency) 평가를 도입.
  • 이때, 협력적 문제해결력은 ‘둘 이상의 가상 인물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의 지식, 기술, 노력을 끌어내고 이해와 노력을 공유하는 과정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한 개인의 능력(OECD, 2013:6, 송미영 외, 2013:46 재인용)'
  • 문제 해결에 효과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은 개인적 문제를 해결하는 인지적 기술뿐 아니라 다른 참여자와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기술을 갖추고 발휘해야 함.

협력적 의사소통

공동의 숙고 과정을 거쳐 합리적으로 의견을 공유 및 검증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집단 의사결정(박재현 외, 2019).

 

 

4. 협력적 의사소통의 의미

  • 1) 문제 해결
    • 정보 전달, 설득, 친교 및 정서 표현등에 의사소통의 목적이 있지 않고, ’ 문제 해결‘에 있음.
  • 2) 개인이 아닌 공동의 숙고 과정
    • 의사소통 참여자들이 의견 표명을 통하여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이 필수적임.
  • 3) 합리적 사고와 소통
    • 내용의 합리성, 내용이 소통되는 과정의 합리성이 동시에 합리적이어야 함. 문제 해결을 도울 수 있는 이성적, 타당, 신뢰로운 정보나 의견을 제시해야 함.
  • 4) 문제 및 대안을 공유하고 검증함
    • 공동의 이해에 도달하고, 논의의 질을 높이기 위해 공유되는 정보나 의견 낱낱의 질을 검토하고 검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함.
  • 5) 집단 의사결정
    • 참여자 모두가 동의하는 하나의 대안에 도달하는 것이 수준 높은 협력적 의사소통임. 의사소통의 ’ 집단‘에서 판단하는 최선의 대안을 도출하는 것을 바람직한 것으로 본다.

 

출처: 박재현, 백정이, 양경희, 최영안(2019).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 평가 틀 구안.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