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도 포스팅했지만, AI를 교육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는 선생님들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말 문과 스타일이고, 인공지능에 대해 아는 게 부족한 저도, 1개의 프로그램을 가지고 정말 사골처럼 우려먹었답니다. 이렇게 교과 재구성을 해서, 나름대로 문화재청이나 과학 전시관에서 상도 탔습니다(허허, 자랑 아니고요.)
[금융교육] - 경제교육 프로젝트 시작 전!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한글 양식 공유
경제교육 프로젝트 시작 전!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한글 양식 공유
프로젝트 수업을 많이 들어보셨지만,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많이 막막하셨죠? 제가 계속 포스팅하고 있는 경제교육 금융교실은 모두 프로젝트 수업의 일종입니다. 프로젝트 수업이란, 학습자가
schoolforkids.tistory.com
그저 생소한 분야일 뿐, 어려운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드리고자 여러 자료들을 만들었는데요. 선생님들께서도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학기 초에, 선생님들이 맡으신 학년 교육과정을 살펴보면서, 어떻게 재구성하면 좋을지 정리해볼게요!
1. 성취기준 쓰기가 귀찮으면, 교과서 단원 쓰기
개인적으로 초등학교 교과의 전문성은, 교과 간 융합에 있다고 봅니다.
과학이든, 도덕이든, 국어든 웬만한 건 다 때려 박을 수 있다고요. 초등교사는 그래서 위대한 직업입니다. 그리고 그만큼 어려운 직업이고, 교과 연구가 필요한 직업이지요. 그것도 학년마다, 해마다 달라지니까요.
그래서 이런 양식이 1학기~1년의 계획 세우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 양식 공유 - 성취기준 기록표(한글파일)
미리 캔버스로 만들면 번쩍번쩍하고 디자인이 참 예쁩니다.
그런데 이번 학기초는 저도 정신이 없을 것 같아, 본질에 충실하고자 합니다.
아무래도 한글 파일이 직접 수정하시고, 쓰시기에 더 좋을 것 같아요. 😁😁
어때요? 예시로 보여드리니 좀 와닿으실까요?
성취기준, 단원명 쓰시고 밑에는 핵심 활동을 간추려서 키워드만 써주셔도 됩니다.
교재 연구, 이것만 있으면 큰 지도가 마련되는 것과 같습니다. 맥락이 정해지기 때문에, 수업 아이디어도 팡팡 샘솟으실 거예요!
인공지능을 이용해 교과 융합을 꿈꾸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예시로서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올해도, 파이팅입니다!
'AI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그라미: 데이터 시각화를 이용하는 방법 (ft. 대한민국 통계청) (0) | 2022.03.13 |
---|---|
과학교육에서 인공지능과 데이터 시각화를 적용하는 방법 (0) | 2022.03.13 |
메타버스 플랫폼 중, 게더타운에 대해 알아보자. (feat. 고려할 사항) (0) | 2022.02.09 |
데이터의 시각화를 알아보자. (0) | 2022.02.07 |
인공지능의 데이터 속성과 유형 (0) | 2022.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