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교육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성취에 관한 선행연구를 알아보자.

by _❤
반응형

TIMSS와 PISA에서 우리나라는 줄곧 높은 인지적 학업성취를 보인 반면, 정의적 영역에서는 매우 낮은 성취를 보여주고 있어, 국내에서는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성취를 높이기 위한 관심이 매우 높습니다(OECD, 2016, 2019).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은 점점 부각되고 있으나 학생들의 낮은 정의적 성취는 계속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습니다(Hong, 2019; Jho, 2012). 오늘은 이 선행 연구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정의적 성취 향상을 위한 연구

  • Bae & Sohn(2018)은 정의적 성취 향상을 위해 학교 수업이 어떻게 변화하여야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업 환경, 수업 및 평가 요인을 살펴봄. 그 결과, 과학 정의적 성취는 학교보다는 학생 수준에서 수업환경, 수업 및 평가 요인과 더 강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특히 교사의 지지와 피드백 및 수업 활동 등이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Shin et al.(2017)은 학생 개인의 과학에 대한 긍정 경험에 주목하여 과학긍정경험 지표를 개발하고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이연구에서 개발한 과학 긍정경험 지표는 ‘과학학습정서’, ‘과학 관련 자아개념’, ‘과학학습동기’, ‘과학 관련 진로포부’, ‘과학 관련 태도’로 구성되어 있음
  • Shin et al.(2018a, 2018b, 2020)의 연구에서는 일반 학교와 과학 선도학교에서의 과학긍정경험의 향상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도출함.
  • Shin et al.(2018b)의 연구에서는 과학선도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및 평가 방법의 변화뿐 아니라, 다양한 팀 프로젝트 및 동아리 활동, 선배들의 이공계열 진로특강과 같은 비교과 활동 등이 과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성취 향상을 위해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함
  • Shin etal.(2020)의 연구는 교사뿐 아니라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정의적 성취 향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과학선도학교의 교사와 이 교사가 직접 가르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면담
  •  Park & Lim(2019)은 초등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자기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면담에서 학생들이 모둠원과의 다툼이나 과학시험에 대한 부담 때문에 과학 학습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보고함.
  • Her et al.(2019)의 연구에서도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부정적 정서들이 실험이 실패하거나 학습 내용이 어려울 때 발생하였다고 언급

 

2. 정의적 성취 향상의 두 가지 요인(Shin et al., 2020)

  • (1) 핵심 요인
    • 직접적인 탐구 활동
    • 학생 주도적 수업
    • 긍정적이고 전문적인 피드백
    • 탐구를 통한 지식 구성
    • 학생의 흥미와 적성을 반영한 수업
    •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 활용
    • 효과적인 모둠 활동
    • 적절한 학습 난이도
  • (2) 환경 요인
    • 교사의 수업 전문성
    • 수업 환경
    • 교사 공동체
    • 교육과정의 변화
    • 정규 수업 이외의 과학 활동

과학 정의적 성취와 관련한 선행 연구들의 한계

  • 정의적 성취가 낮은 이유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님
  • 정의적 영역의 하위영역을 구별하여 살펴보지 않아 각 하위 영역별로 왜 낮은 성취를 보이는가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주지 못함

 

참고문헌: 김율, 정은영, 박지선, 이성희, 윤혜경, 김현정, 강훈식, 이재원, 정지현. (2022). 초·중·고등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성취가 낮은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3), 325-34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