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교육

우리나라 인구 분포의 특징 변화와 경제 교육

by _❤

1. 인구 밀도와 인구 분포의 차이

지난 포스팅에서는 우리 대한민국의 인구 밀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인구 분포의 개념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인구 분포는 사람들이 어디에, 얼마나 몰려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인구 밀도는 이 분포를 나타내기 위해, 단위 면적당 사람의 수를 나타내는 인구 분포의 지표(척도)입니다.

 

그러니,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많은 지역도 있고, 반대로 인구가 적은 지역도 있기 때문에

한 지역과 다른 지역의 인구수를 비교할 때는 인구 분포를 나타내는 방법 중에서 인구 밀도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중국의 상하이에 사람들이 많이 모여있다는 것을 그냥 나타내는 것은 인구 분포이고, 

단위 면적당 상하이에 사는 사람들, 단위 면적당 간도에 사는 사람들을 비교하기 위한 것은 인구 밀도입니다. 

 

 

 

2. 인구분포도란?

인구분포도란, 인구 분포를 지도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인구분포도는 점이나 색깔, 그림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인구분포도는 표에 비해 인구 분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인구분포도는 점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림그래프와 마찬가지로, 점 한 개당 사람의 수를 정하고 인구에 맞게 해당 지역에 점을 찍는 것입니다.

점이 많이 찍힌 곳은 인구가 많고, 점이 적게 찍힌 곳은 인구가 적습니다.

색깔로 나타낸 인구분포도는 각 범례에 해당하는 색깔로 인구 분포 정도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인구가 많은 곳은 진한 색, 인구가 적은 곳은 연한 색으로 나타냅니다.

그림으로 나타낸 인구분포도는 그림의 크기와 개수로 인구를 알 수 있습니다.

인구가 많은 곳은 큰 그림이 많이 그려져 있고, 인구가 적은 곳은 작은 그림이 적게 그려져 있는 것입니다.

 

 

 

3. 우리나라의 인구 분포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2017년 8월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 대비 14%(725만 명)입니다.

우리나라 전체로는 고령 사회에 해당하지만, 시군별로는 호남과 영남 내륙 지역은 이미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습니다.

 

전통적 농업 국가였던 우리나라는 평야가 많이 분포하는 남서부 지역에는 논농사에 유리해 인구가 조밀했습니다.

상대적으로 춥고 산지가 많아 논농사를 짓기 어려운 북동부 지역에는 인구가 희 박한 편이었습니다.

이처럼 산업화 이전의 전통 사회에서는 지형, 기후 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이 인구 분포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주었습니다.

 

1960년대 이후 도시를 중심으로 산업화가 되면서 촌락에 사는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동했습니다.

그 결과 서울, 부산 등 대도시 지역의 인구 밀도는 급격하게 높아졌지만 산지 지역과 농어촌 지역의 인구 밀도는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인구 분포가 나타나게 된 까닭은 지역마다 산업의 발달 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대도시 지역은 산업이 발달해 일자리가 많기 때문에 인구가 많습니다

 

 

4. 인구 분포 불균형의 부작용

인구 분포의 지역적 불균형은 대도시에는 주택, 교통, 환경 문제 등의 인구 과잉의 문제를 불러왔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부동산 폭등이라고 볼 수 있겠죠.

그 외의 지역에는 인구 정체와 인구 감소로 인한 편의, 복지 시설의 부족과 노동력의 고령화 문제를 불러옵니다.

 

 오늘날에는 과학 기술이 발달하고 경제 성장이 가속화되면서 인구 분포의 자연적 요인보다 사회·경제적 요인의 중요성이 증대되었습니다.  이제는 지역에 따라 지형, 기후와 같은 자연적 조건도 다를 뿐 아니라, 산업, 교통과 같은 인문환경적 조건이 중요해졌기 때문입니다.

 

수도권의 면적은 약 12%에 불과하지만 인구는 전국의 약 50%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 외에도 관청, 제조업체, 대학교, 문화 시설 등이 집중되어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교육 서비스의 혜택은 수도권과 대도시에 많이 분포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구가 늘어나는 지역은 주택부족, 교통혼잡,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나라의 수도권 편중 현상을 줄여야 할 것입니다. 

 

참고문헌: 교육부. 2021. 5학년 1학기 사회 교사용 지도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