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은 핵심역량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 대화와 글쓰기에 구현된 언어 표현의 문법적 특성에 기반하여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양상을 조사했습니다.
연구 방법
연구에서는 Brown et al.(2010)의 증거에 기반한 추론 프레임웍을 순환학습모형에 접목한 수업을 초등학교 5학년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에 적용했습니다.
수업 구성
- 수업 활동은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됐습니다
- 초기모델 구성: 학생들이 관찰한 현상을 설명하는 모델 제시
- 탐구 활동: 모형실험을 통해 증거 수집
- 모둠별 모델 구성: 수집한 증거를 바탕으로 설명모델 개발
- 모델 공유 및 최종모델 완성: 피드백을 통한 모델 정교화 수업
- 대화에 활발히 참여한 학생 8명의 대화와 글쓰기 결과물을 분석하여 문법적 특성을 조사했습니다.
주요 연구 결과
- 데이터 인식/분석: 학생들은 관찰 대상을 지시하는 명사를 주어로 사용하고 현상을 서술하는 술어를 활용했으나, 인과 관계 대신 계기성 연결 어미나 조건 표현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 증거 해석: 학생들은 시간적 선후 관계를 표현하는 연결 어미를 사용하여 인과 관계 서술을 대체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일부 학생들은 "온도 변화", "식는 정도"와 같이 명사화를 통해 개념을 표현했습니다.
- 규칙 적용/설명 구성: 학생들은 규칙을 적용하여 설명할 때 인과 관계보다는 현상을 나열하는 연결 어미를 주로 사용했습니다.
- 특히 주목할 점은 일부 학생들이 교사의 교수법적 발화나 교과서 텍스트의 문법 구조를 경험한 후, 과학의 언어 특성인 명사화 방식의 문법적 은유를 사용한 사례입니다.
교육적 시사점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교육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 과학지식 구성 맥락에 적합한 언어 사용 모델 제공
- 교사의 교수법적 안내 발화를 통한 적절한 문법 구조 제시
- 과학 교과서 및 학습 활동지에 적절한 문법 구조를 포함한 문장틀 제시
이 연구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단순한 형태적 분석에서 벗어나 과학지식 구성 과정의 문법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학생들이 과학의 언어 특성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맹승호, 이관희. (2022). 과학 학습 언어의 문법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고찰. 초등과학교육, 41(1), 30-43.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트 형제 vs 커티스: 협력이 만든 비행의 혁신 (0) | 2025.04.06 |
---|---|
(해외)발명교육을 통한 학생 참여 촉진: '교내 및 교외 교육 설계의 여섯 가지 반복' 논문의 시사점_Jackson et al. (2024) (0) | 2025.04.01 |
김서연, 맹승호(2024). Apt-AIR 기본틀로 본 초등학생의 과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지식 구성의 인지과정 실행 양상 논문의 시사점 (0) | 2025.03.29 |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에서 신교육목표분류학으로: 교육 패러다임의 진화 (0) | 2025.03.28 |
과학교육에서 정의하는 지식 (1) | 2024.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