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진학을 꿈꾸는 영재 아이들을 바라보며 드는 생각
영재 강사로 활동한 지도 어느덧 8년 차입니다. 20대 교사는 아는 것과 모르는 것 모두를 가르치고, 30대 교사는 아는 것만 가르친다고 합니다. 어쩌면 열정만 가득해서 뭐든지 아이들에게 가르치려고 했던 저의 20대가 무모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합니다.
1. 인공지능 시대, 아직도 의대 열풍?
대한민국은 지금 의대 공화국입니다. 의대 중심 교육과정으로 대한민국이 굴러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영재고 학생들이 환수를 무릅쓰고 의대로 진학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앞으로 우리 아이들에게 필요한 일, 특히 지적으로 우수한 아이들에게 필요한 내용이 무엇일까요? 영재교육에 대한 자성적인 목소리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적으로 우수하니까 더 많은 더 많이 지적으로 우수하도록 키워주는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닌 시대입니다. 의대를 진학한 아이들이 마냥 행복한 것도 아닙니다.
제가 SSI를 연구하는 이유도 이것입니다.
2022.09.26 - [과학교육] - 위험 사회의 등장과 SSI 교육에서 사회적 실천의 필요성
앞으로의 사회는 정답이 없는 사회이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점점 더 정답이 없는 문제들이 핵심적인 과제로 등장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AI는 인간의 모든 업무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무섭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말 그대로 산업 혁명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와 전혀 다른 상황이에요. 그래서 정답이 없는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고 그 문제를 혼자서 해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같이 풀어나가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영재 아이들에게 협력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힘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흥미로운 것이, 수업을 하다 보면 지적으로 우수한 아이들이 협력해서 하는 걸 못 견디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보니까 힘들어해요. 협력해서 하는 거를 서로 이익과 손해 보는 구조에서 손해 보는 걸 못 참습니다. 협력적으로 해야 윈윈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주고 경험 속에서 학습에서 해야 될 역할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2. 영재교육의 방향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할까?
그런 면에서 영재 교육의 과제 산출물 대회는 조를 이루어서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아이들에게 협력을 실천할 수 있는 프로젝트 학습이기 때문입니다.라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 학습 중에서 최고의 프로젝트 학습을 할 수 있는 인재들이 영재들인 거 같아요. 영재들 산출물 대비해서 협력적으로 하는 과제물을 부여하는 것이 어떨까요?
2030 서울 미래 교육에서도 똑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정보를 찾아서 그것을 판단하고 융합할 수 있어야 되며 특히 다른 사람하고 협력하는 지식을 공유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게 우주선입니다.
우주선 하나에 과학자가 1천 명 정도 매달립니다. 서로 다른 이질적인 전공을 한 박사들이 모여, 서로 협력해서 겨우 그 결과가 나오는 겁니다. 협력하지 않고, 혼자서는 불가능해요.
그렇게 봤을 때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호기심과 궁금증을 키워나감으로써 사고력 창의력 문제 해결을 키워나가는 것이 필요하지, 교사가 알고 있는 내용을 많은 내용을 전달해서 채워나가는 교육 가지고는 역부족입니다.
지금의 이 기후 위기하고 인공지능이라고 하는 장벽이 있을 때 이것을 돌파해 낸다면, 우리 아이들이 어마어마한 이순신 장군이나 세종대왕을 능가하는 위인 중에 위인이 되지 않을까요?
왜 우리나라에서는 노벨상 받는 사람이 나오지 않는지.
왜 우리나라 대치동에서는 그토록 많은 학부모님들이 라이딩을 하는 건지.
왜 우리나라 교실에서는 아이들이 책상에 엎드려서 잠을 자는지.
왜 영재 아이들이 의사를 꿈꾸는지.
다시 돌이켜 봅니다. 그리고 반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