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에 대해 알아보자.

_❤ 2023. 10. 17. 20:28

오늘은 과학 교과의 중요한 핵심역량 중 하나인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번에 개정된 2022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에 대한 언급이 빠졌으나, 과학 공동체에서 매우 중요한 교육적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1.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란?

  • 과학적 의사소통은 AEIOU 모델(Awareness, Enjoyment, Interest, Opinions, Understanding)을 위한 기능, 매체, 활동, 대화 등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과정으로 정의됨(Burns et al., 2003)
  • Kulgemeyer and Schecker (2013)는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science communication competence)에 대한 구성주의적 모델을 제안
  • 의사소통 전달자와 청중 사이에 의사소통 콘텐츠가 공유될 때, 청중은 과학 정보를 단지 수동적으로 수용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콘텐츠인 과학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음
  • 전성수(2013): 과학 지식과 과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사실, 현상, 원인 등에 대한 과학적 설명과 주장을 다양한 형태로 전달, 교환, 공유하는 능력(p. 50)

 

2. 매력적인 의사소통이 되기 위해 고려할 측면 (Kulgemeyer and Schecker, 2013)

  • 과학적 내용 및 정보(factual content)
  • 과학 내용과 정보가 소개되는 맥락(context)
  • 과학 내용과 정보 전달자가 선택한 언어의 형태(code)
  • 과학 내용과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representation form) 

 

3. 선행연구 사례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그 하위 범주로 구분하여 파악하는 접근 위주로 선행연구들이 이루어짐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교육 연구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은 주로 과학 수업에서 형성되는 의사소통의 유형과 형태 혹은 의사소통의 수단 등으로 세분화하여 조사되는 경향이 있음.
  • 나지연과 장병기(2018)
    • 초등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수업 과정안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교수 활동을 제시하는 방식(명시적, 암묵적, 맥락적)
      • 의사소통의 수단(말, 글, 표, 그림, 그래 프 등)
      • 의사소통의 내용(추리 또는 예상, 실험 결과, 현상, 과학 지식, 탐구 방법 등)
      • 의사소통의 대상(모둠 내 학생, 전체 학생, 학생 간 등)
      • 의사소통의 방식(일방향, 쌍방향, 개인 등)
      • 의사소통의 형태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 관찰하기)
  • 전성수(2013)
    • 의사소통 유형: 설명과 주장
    • 의사소통 형태: 글, 그림, 표, 수식으로 평가의 준거를 구분
    • 24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검사지를 개발
  • 김철훈과 이형철(2017)
    • 초등학생의 토의, 토론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라운드 로빈 기법(발언 기회를 차례 대로 받기)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서술형태의 과학적 설명과 과학적 주장의 정당화 측면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밝힘.
  • 권난주 등(2017)
    • 과학 기사를 활용한 자유로운 말하기 활동을 수행한 이후에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이 서술 형태의 과학적 설명과 과학적 주장의 근거 또는 정당화 측면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하였음을 보고
  • 하지훈과 신영준(2017)
    • 거꾸로 수업을 도입한 과학 수업 후에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표와 그림과 같은 시각적 형 태로 표현하는 의사소통의 형태와 정당화 측면의 과학적 주장에 대한 의사소통의 유형에서 유의미한 신장을 보였음을 밝힘

 

4. 과학 수업의 의사소통 과정을 논증 활동의 형태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

  • 과학적 추론과 증거에 기반한 설명 구성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음(맹승호 등, 2013; Berland & Reiser, 2011; Zembal-Saul, McNeill, & Hershberger, 2013).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면 학습자들이 과학지식을 구성할 때 동원하는 언어적 자원의 면모를 파악하는 일이 중요함
  •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맥락에서 형성되는 말하기 및 글쓰기의 특성과 언어 사용 방식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음
  • 과학적 논증 활동에서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양상을 세밀하게 파악하려면, 논증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어떤 언어적 자원을 동원하는지,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 형식의 문법적 특징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참고문헌: 

맹승호, and 이관희. "과학 학습 언어의 문법적 특성을 고려한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고찰." 초등과학교육 41.1 (2022): 3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