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
과학교육에서의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에 대해 알아보자
_❤
2023. 10. 9. 17:06
다양한 이해 당사자와 그들의 정당성, 논리를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으로 ANT(행위자 네트워크 이론)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국내외의 과학교육 분야에서도 ANT를 적용한 연구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오늘은 이 ANT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배경
- ‘제4차 과학교육 종합계획(2020∼2024)’: 첨단 과학기술을 도입한 과학교육 개혁안을 제시(Ministry of Education, 2020). AI, AR/VR, IoT 등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과학실, 시공간을 초월한 과학 탐구실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AI 교육 플랫폼을 통한 맞춤형 학습 지원을 고려하고 있음
- 첨단 기술을 반영하는 과학 교수학습 환경이 확대된다면 과학교육에서 기술, 도구, 기계 같은 ‘비인간’이 차지하는 역할은 점차 확대될 것임
- 기술을 기반으로 그 네트워크는 더욱 확장될 것이며, 다양한 정책의 등장과 함께 관련 행위 주체도 더욱 늘어날 것
- 급격히 변화하는 과학교육 현장의 양상을 포착하고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관점들이 점차 요구되는 상황
2.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이란?
- 인간중심 사유를 전제하는 인본주의와 인간 대 비인간, 자연 대 사회를 구분 짓는 근대적 인식론의 한계를 탈피하 기 위한 움직임 중 하나
- 근대적 인식론에서 탈피하여 ‘물질성(materiality)’에 주목
- 수많은 경험 연구를 통해 과학, 기술, 사회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이론
- 우리의 인식 속에서 배경으로 물러나 있던 사물, 도구, 기계와 같은 물질에도 관심을 두고 인간과 비인간이 한데 얽혀 행위성을 발휘하고 있는 하이브리드(hybrid)들이 가득한 세계를 인식할 것을 강조
3. 행위자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 행위자(actor)
- 행위능력을 가지고 있어 세계에 어떤 변화를 만들어내는 존재로 인간, 비인간을 모두 포함한다(Latour, 1990, 2005)
- 인간과 비인간 모두를 같은 평면 위에 위치시킴
- 모든 인간과 비인간은 동일한 평면상에 동등한 행위자로서 존재하며, 행위자 간의 특정한 연결과 상호작용으로 거시와 미시 같은 규모적 효과가 나타남
- 네트워크(network)
- 네트워크는 인간 행위의 단면을 설명하는 사회학적인 개념이라기보다는 사회와 자연의 본질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
- 세상이 어떻게 생겼는가를 은유하는 존재론적 개념
- 사회는 면이나 구처럼 영역, 범주, 구조, 계층 등으로 구획되어있지 않고 실이나 끈들이 서로 연결된 것과 같은 형태로 존재
- 멀고 가까운 것, 거시와 미시, 내부와 외부 등 기존에 우리가 인식하는 공간적 차원을 따르지 않고, 연결의 수만큼 많은 차원을 상정(Latour, 1990)
- 기존에 사회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온 것들을 인간, 비인간을 모두 포함한 이종적인(heterogeneous) 물질들의 질서 있는 네트워크로 재정의(Latour, 1990).
- 번역(translation)
- 번역은 하나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 변환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의미만이 아닌 하나의 행위자가 다른 행위자를 동원하는 식으로 연결되어 가는 과정을 의미(Callon, 1986; Law, 1992).
- 서로 연관된 행위자들은 결국 새로운 네트워크로서 등장하며 그 네트워크가 구축되는 과정을 번역이라고 정의
4.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 ANT를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이하 SSI) 교육의 방편으로써 활용하거나 새로운 과학교육의 관점을 제시하는 연구 사례(Bencze & Krstovic, 2017)
- 실천지향 SSI 교육 (Kim & Kim, 2021; Lim, kim, & kim, 2021)
- ENACT 모형(Lee et al., 2020)
- PARRISE 프로젝트
- STEPWISE 프로젝트(Bencze, 2017)
- 교수학습 상황에서 한 가지 비인간을 주요한 행위자로 인식하 고, 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 탐색한 연구들(Bearman & Ajjawi, 2018; Dong, 2019; Edwards, 2011; Esmonde, 2019; Moon, 2019; Mulcahy, 2011; So, Choi, & Park, 2022)
- 디지털 교과서에 관한 연구는 디지털 교과서가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 학업 성취도, 학습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Byun, Ryu, & Song, 2011; Joo & Lim, 2015).
- ANT를 적용한 기타 연구물들은 교육 기준이 ‘기입’이라는 형태로 가동성을 획득하여 존재론적으로 다중적이라는 것, 그리고 각 맥락에서 사회 물질적으로 작동하는 행위자로서의 효과를 보여준다는 특징이 있음
참고문헌:
하윤희, 임성은 and 김찬종. (2022).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교육 분야 적용 연구 분석을 통한 과학교육 연구 기여 가능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3), 34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