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교육
환경 역량에 대해 알아보자(정희라 외, 2019)
_❤
2023. 5. 19. 19:04
최근 학교 교육과정은 직업교육이나 직업훈련분야 등에서 강조하던 역량을 받아들였으며, 학생들의 실제 삶에서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을 교육의 방향으로 설정하였다(박지애 등, 2019).
역량이란?
- 역량은 복잡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의 가동을 말한다(OECD, 2018)
- 환경교육 분야에서도 환경역량 강화를 강조하였다(강윤재, 2019; 이선경 등, 2020).
- 우리나라에서는 중․고등학생의 환경역량이 개발되었고(서은정, 2014)
-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 또한 환경역량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권영락 등, 2016)
환경역량에 대한 연구의 흐름
- 첫째, 환경역량을 직업교육과 기업교육 관점에서 역량 모델링을 통해 하위영역을 재구조화한 연구들이 있다(권영락 등, 2016; 서은정, 2014; 장미정 등, 2018; Almers, 2013; Bishop & Scott, 1998; Daskolia & Flogaitis, 2003; Eames et al., 2006; Mogensen & Schnack, 2010; Wesselink & Wals, 2011)
- 둘째, 환경역량이 환경소양의 개념과 유사한 환경지식, 환경태도, 환경행동과 같은 변인들로 구성된다고 보는 연구들이 있다(Roczen, 2011; Roczen et al., 2014). 환경교육 분야에서는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과 환경역량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대상의 환경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화된 검사도구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Seo et al., 2020).
환경 역량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 환경역량과 관련한 초등학생(박경옥과 이상원, 2017; 장미정 등, 2018; Eames et al., 2006), 중․고등학생(서은정, 2014), 예비 초등학교 교사(Panganiban-Lualhati,2017), 교사(Daskolia & Flogaitis, 2003), 성인(Dibrell et al., 2015; Marcus & Anderson, 2006)을 대상으로 한 검사도구가 개발되어 활용되었으나, 이러한 도구들은 연구자가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것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정교한 검사도구 개발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 환경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고 학생들의 변화와 환경역량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정교한 도구 개발과정과 함께 전국단위 규모의 표집 조사를 통한 타당화 과정을 거쳐 그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규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참고자료: 정희라․최지선․백성희(2019). 초등학생 환경역량 검사도구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