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일기

교사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 그리고 초등교사 직업 정체성 연구의 필요성

_❤ 2023. 5. 11. 20:39

‘君師父一體’라는 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사적으로 한국사회에서는 유교적인 사고관에 의해 전통적으로 교사를 임금, 국가, 부모와 같은 위치로 간주하여 왔다. 오늘은 초등학교 교사라는 직업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왜 필요한지 정리해 보겠다.

 

교사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각의 변화

 1960년대부터 교사도 일종의 노동자라는 의견이 제기되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전문 직업인, 평생 안정된 직장(또는 직업)으로 보는 시각도 등장하였다. 전문직적 요소에 비추어 볼 때, 교직은 전문직에 해당한다고 보는 연구들이 존재한다(윤현숙, 2002; 안미화, 2005).

 

 이와 반대로 교직의 비전문직화 현상을 지적하며, 우리나라의 교직이 전문직의 기준에 부합하는가에 대해 회의적으로 보는 연구들도 있다(허병기, 1994; 김성열, 1984). 실제로 경제적 보상, 외부의 간섭, 사회적 홀대 등의 측면에서 보면, 교사가 전문직에 맞는 예우를 받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교직의 전문성과 자율성의 실질적 보장에 미약한 반면, 공공성의 부담이 유독 크기 때문이다(류태호, 2000). ‘학교 붕괴론’, ‘공교육의 위기’로 대표되는 학교 제도와 운영의 경직성(이종태 외, 2000)과 교사의 권위 하락 현상(류방란, 2001)은 앞으로 더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윤철경 외, 1999 : 48).

 

 특히 신자유주의적 체제 아래에서, 교육현장에는 수요자의 요구가 두드러지고, 교육의 공급자로 전락한 교사들은 태도 및 정체성의 변화를 겪고 있다(권미경·김천기, 2015). 교권의 도전에 대해 모욕감과 절망감을 느꼈을 때, 자신의 전문적 위치에 좌절하여 정체성의 위기를 느낀다는 박은혜·이성희(2010)의 연구는 의미가 있다. 한국사회의 맥락에서 절대적으로 부여되었던 교사의 권위는 사라지고, 교사는 이제 일터에서의 매 순간에 불확실성과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은 중등교육과 대비하여 더 강조되는 특성이 존재한다(고재천, 2000 : 176).

 

초등교사 직업의 특수성

초등교사는 가르치는 직무 외에 교육공무원으로서의 행정가, 동료교사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학부모에게는 상담자의 역할, 학생과의 관계에서는 인격적 모범의 역할이 따로 존재한다. 중등교사에게는 한 과목을 지도하는 역할이 부여되지만, 초등교사는 담임 학급의 국어, 수학, 사회, 과학을 비롯한 10여 개 교과뿐 아니라, 생활지도 등의 역할이 있으며, 이것이 요구하는 각각의 정체성은 다르다(정혜정·남상준, 2012 : 145). 여러 교과를 가르쳐야 하는 초등 교육의 맥락상, 한 교과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 오히려 논리적으로 모순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초등교사에게 다양한 역할을 부여하는 사회적 요구와 교사의 권위하락, 전문성에 대한 논란 속에서, 초등교사는 단순히 자신의 직업적 지위에 대한 의문에서 나아가, 자신의 행위와 존재 자체에 대한 딜레마에 빠질 수 있다. 역할에 자신이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할 때, 개인은 역할의 효과성뿐 아니라, 역할을 수행할 개인적 정당성을 획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Goffman, 1959 ; Leary and Kowalski, 1990).

 

그 과정에서 직업정체성은 교사의 성향을 형성하고, 어디에 노력을 기울일지, 직업적 발달의 기회를 추구할지 여부와 어떻게 추구할지를 결정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Hammerness, Darling-Hammond, & Bransford, 2005). 또한 교사의 직업 정체성은 그 자신의 삶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육과 삶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권진옥, 오진아, 김은하, 한대동, 2015). 나아가서 직업정체성은 교사의 직업적 성공, 사회적 적응, 심리적 웰빙(well-being)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도 존재한다(Skorikov & Vondracek, 2011). 때문에 교사의 정체성 발달은 전문성 있는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 관한 이론적 틀로 사용되고 있으며, 교사교육에서 중요한 구인 중 하나다(Burn, 2007; Luehmann, 2007; Smith & Southerland, 2007).

 

직업 정체성의 의미

이때의 직업 정체성은 한 교사 개인이 가지는 다양한 정체성 중에서도 자신의 직업인 교사로서의 자신에 대한 자기 인식이며, 교사가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스스로를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관한 것이다(Lasky, 2005). 최근 교사의 직업 정체성 관련 연구는 정체성을 안정적이고 탈 맥락적인 것으로 다루기보다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시간에 따라 타인과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는 동적인 과정으로 본다(Lemke, 2003; Watson, 2006). Zemblyas(2003)의 연구는 교사의 직업 정체성을 둘러싼 권력관계에도 주목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단순히 교사를 ‘가르치는 사람’의 직무행위만으로 그의 직업 정체성을 규정할 수 없다. 이러한 직업 정체성의 특성은 교사 전문성과 역할에 대한 사회적 요구라는 맥락을 필연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교사의 직업정체성은 그의 전 생애와 사회적 맥락이 만나는 교차점에서 살펴보아야 하는 복잡한 개념인 것이다. 

 

출처: 블로그 주인의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