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
국내 과학 학습 부진에 대해 알아보자(심예지 외, 2023)
_❤
2023. 10. 15. 21:23
오늘은 여러 문헌에서 연구된 '과학 학습 부진'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심예지 외(2023)의 논문에서 요약 및 정리하였습니다.
1. 과학 학습 부진 연구의 필요성
- 과학 문명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과학 교과의 기초학력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음(김애화와 박현, 2010).
- 디지털 소양 함양이 중요해지고 변화하는 교수학습 방법과 미래형 과학교육이 강조되는 4차 산업혁명 시기에 과학 교육에서 소외될 수 있는 과학 학습 부진 학생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
- 과학 과목은 위계성이 뚜렷한 과목으로써 결손이 생기면 학습 결손이 계속해서 누적될 수 있음(주혜련과 박종호, 2013).
- 2022년 3월 25일. [기초학력 보장법]을 시행함. 정부에서 모든 학생의 기초학력을 보장하고 학습 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능력에 따라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법 제정 및 시행(국가법령정보센터, 2022).
- 2017년부터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표집평가로 변경됨. 국가 수준에서 개별 학생들의 기초학력 도달 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기 힘들어짐(교육부, 2017).
- 과학 과목의 학습 부진에 관한 연구는 국어, 수학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음.
- 현재까지 학습 부진 해소에 관한 국내 정책 및 연구가 읽기, 쓰기, 셈하기 위주로 되어 있음(박선화 외, 2021).
- 2020년 시작된 팬데믹 현상으로 인한 원격수업이 이루어짐. 학생들의 학력 격차를 가속하고 학습 부진아를 양산함(구자옥 외, 2021).
- 학습 부진 해소를 위해 정책적 시도와 함께 관련 연구도 필요함. 과학 학습 부진에 관한 외국 연구의 사례 나이지리아 리버스 주에 있는 중등학교의 과학, 기술 및 수학 교육 성취도 부진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연구(Obomanu & Adaramola, 2011)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남학생들의 수학과 과학 과목에서의 학습 부진에 관한 연구(Elsayed et al, 2022) 등이 꾸준히 이루어짐.
- 과학 학습 부진 문제를 해소하고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과학 학습 부진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
2. 과학 학습 부진이란?
- 교육과학기술부(2008) : 학년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최소 수준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대상 교과로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을 제시)
- 최미진(2012) : 기초 학습 기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 (과학의 경우 해당 학년 교육과정 기본 내용을 20 % 미만으로 이해한 수준으로 국가 수준 성취도 평가에서 ‘기초학력 미달'수준의 판정을 받은 경우 )
- 최근에는 ‘학습 부진'이라는 용어의 부정적인 느낌 때문에 ‘기초학력'이라는 중립적인 용어를 일반적으로 활용해 왔으나(몽흐바야라 외, 2022), 그동안 기초학력 미달이 학습 부진의 개념과 다르지 않았음.
- 기초학력 미달은 학습 부진의 개념을 평가학적 근거에 의해 표현한 것 (김태은 외, 2012).
-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기초학력 미달'로 판정받는 학생들은 흔히 학교 현장에서 ‘학습 부진 학생‘ 으로 지칭함(김태은 외, 2012).
- 실제로 ‘과학 기초 학력 미달'의 검색어로 문헌을 검색했을 때는 과학 학습 부진에 관한 문헌이 검색되지 않았으나, ‘과학 학습 부진’의 검색어로 문헌을 검색했을 때는 과학 기초 학력 미달의 내용이 포함된 문헌들이 검색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에서의 학습 부진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과학 과목에서의 기초학력 미달의 내용을 포함하는 개념인 ‘과학 학습 부진'을 키워드로 함.
3. 연구의 결론
- 과학 학습 부진에 관한 연구는 2000년까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다가 2001년부터 연구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함
- 2011년~2015년에 사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이후로 현재까지는 다시 연구의 수가 감소하는 경향.
- 연구 설계에서는 효과성 검증 연구가 전체 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음.
- 연구 방법에서는 양적 연구가 전체 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음. 연구 대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짐.
- 과학 학습 부진아의 정의
- 1) 잠재 능력에 비해 과학 교과의 학업 성취가 떨어지는 학생
- 2) 잠재 능력과 무관하게 과학 교과의 학업 성취가 떨어지는 학생
- 학교 현장에서는 잠재 능력을 측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두 번째 정의가 학교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분석됨.
- 과학 학습 부진아의 선별 기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점수 기준. 그다음으로 하위 집단 기준.
- 1) 점수 기준인 경우 : 학습 부진아를 ‘학습 부진'의 측면에서 평가. 절대 평가 기준 적용.
- 2) 하위 집단 기준인 경우 : 학습 부진아를 ‘학업 저 성취'의 측면에서 평가. 상대 평가 기준 적용, 기준은 연구마다 다양하게 나타남.
- 과학 학습 부진아의 선별 도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학교 시험. 그다음으로 공인된 평가로 나타남.
참고문헌:
심예지, 박일우, and 주은정.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국내 과학 학습 부진 연구 동향 분석." 현장과학교육 17.3 (2023): 192-215.